與“탄핵 자유투표” 친박도 표결 참여

입력 2016-12-05 18:08 수정 2016-12-06 00:22

탄핵 표결 불참을 고려했던 새누리당 주류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표결에 자유투표 형식으로 참여할 전망이다. 새누리당 의원 전원이 탄핵 표결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누리당이 사실상 자유투표를 선택함에 따라 탄핵 가결 가능성은 높아졌다는 분석이 많다. 비주류들이 찬성표를 던지기로 결의한 데다 일부 온건 친박들 사이에서도 이탈표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5일 국회에서 이정현 대표와 만난 뒤 “9일 예정대로 탄핵 절차에 돌입하게 되면 우리 당 의원들도 다 참여해 개개인이 헌법기관인 만큼 양심에 따라 투표하는 것이 좋다는 게 일관된 생각”이라고 말했다. 또 “(이 대표도) 동의했다”고 덧붙였다. 친박계 지도부 인사는 “최고위원회의에서도 탄핵 표결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고 설명했다. 탄핵 표결에 부정적이었던 친박계 의원들이 자유투표로 선회한 것은 표결 거부로 인한 비판 여론과 촛불민심의 분노를 의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박 대통령은 6∼7일쯤 마지막 승부수가 될 수 있는 4차 대국민 담화를 통해 퇴진 시점을 밝힐 것으로 전망된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박 대통령에게 ‘내년 4월 퇴진, 6월 조기 대선’에 대한 입장을 조속히 내놓을 것을 공식 요구했다.

한광옥 대통령 비서실장은 ‘최순실 게이트’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에 출석해 “심사숙고해서 좀 늦어졌는데, (박 대통령이) 곧 (퇴진 시점) 결단을 내릴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 실장은 또 “대통령이 국민들의 뜻에 따라 선출됐기 때문에 국민 뜻에 따라 대통령이 답을 주셔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허원제 청와대 정무수석도 “대통령도 당원의 한사람으로서 (내년 4월 퇴진을 요구한) 당론을 수용하시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국민일보 12월1일자 1면 참조).

야권은 탄핵 가결을 위한 구체적인 액션 플랜 가동을 시작했다. 더불어민주당은 9일까지 매일 비상 의원총회를 열기로 했다. 또 이날 오후 2시부터 국회 본관 로텐더홀에서 100시간 연속 ‘탄핵 버스터(필리버스터·무제한토론)’를 시작했다. 여야 비주류의 ‘이탈’을 막기 위한 것이다. 추미애 대표는 “(박 대통령의) 내년 4월 퇴진을 위한 여야 합의는 있지도, 있을 수도 없다”고 재확인했다.

국민의당은 국회에서 탄핵 촉구대회를 개최했다. 김동철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은 “탄핵 가결 순간까지 매일 24시간 비상체제를 가동하겠다”면서 “당의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박 대통령 탄핵을 기필코 성공시키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2·3·4·5·8면

하윤해 강준구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