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에게는 이제 선택지가 별로 없다. 오는 9일 국회의 탄핵 표결을 막으려면 ‘즉각 사퇴’를 선언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렸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즉각 퇴진을 선택할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는 게 청와대 내 중론이다. 박 대통령은 표결 전까지 새누리당 비주류를 집중 공략해 탄핵 대오를 흔드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의 4차 담화는 예정된 수순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광옥 대통령 비서실장이 이날 국회 국정조사 특위 기관보고에 출석해 “대통령이 곧 결단을 내릴 것으로 안다”고 밝힌 만큼 이르면 6일 전격 입장을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 남은 건 메시지다.
일단 새누리당 지도부가 5일 요구한 ‘4월 퇴진, 2선 후퇴’ 입장 표명을 수용하는 안이 있다. 허원제 청와대 정무수석 역시 국정조사 특위에서 박 대통령이 새누리당 당론을 수용하겠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이는 새누리당 비주류를 겨냥한 메시지다. 비주류 모임인 비상시국위원회는 전날 박 대통령이 4월 퇴진 입장을 밝히더라도 탄핵 표결에 동참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막상 대통령이 퇴진 시점을 못 박고 나면 상당한 압박을 받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여권 관계자는 “수도권은 몰라도 영남 지역 의원들은 계속 국회의원을 할 생각이 있다면 표결 직전까지 민심과 선거 사이에서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비주류가 끝까지 탄핵 동참을 유지할 것인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일각에선 4차 담화가 ‘최후 변론’ 형식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한 참모는 “박 대통령은 ‘차라리 탄핵하라’는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며 “이제와 야당이 걷어찰 게 뻔한 4월 퇴진을 밝히느니 탄핵 심판을 가정하고 마지막 메시지를 준비하는 것이 더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표결 전 본인이 억울한 점을 집중 해명하는 자리를 갖지 않겠는가”라고 전망했다. 청와대는 그동안 탄핵 가결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대응책을 마련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정연국 대변인이 매일 오전 실시했던 브리핑을 돌연 취소했다. 4차 담화 등에 대한 내부 방침이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탄핵 칼날 위에 선 朴 비박 흔들기 카드 뽑나
입력 2016-12-05 18:16 수정 2016-12-05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