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새 행정부 출범이 국내 은행에 미칠 단기적 영향으로 ‘금리 급등 가능성’이 꼽혔다.
한국금융연구원 서정호 연구위원은 5일 은행연합회·금융연구원·국제금융센터가 공동 개최한 ‘은행산업 전망과 리스크 요인 점검 세미나’에서 “저소득층, 다중채무자, 한계기업 등에 대한 리스크 관리와 은행의 자기자본 관리가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고 밝혔다. 국제금융센터 김동완 금융실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다음 주에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100%에 육박한다. 내년에 두 번 이상 금리 인상이 예고돼 있다”고 분석했다.
서 연구위원은 “가계대출 중심의 시장점유율 경쟁을 지양하고, 자본수익률 제고 및 수익구조 다변화에 집중해야 한다”고 은행권에 주문했다. 그는 “국내 은행의 기본자본비율이 다른 국가와 비교해 높은 수준이 아니다”며 “위험가중자산 대비 수익성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의 은행 대출금리 상승은 주로 시장 조달금리 변동에 기인한 것으로, 국내 은행의 대출금리는 국제 수준과 비교할 때 높은 편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은행연합회는 별도 자료를 통해 은행권의 3분기 순익이 역대 최고인 이유가 가산금리를 올린 덕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미국의 순이자마진(NIM)이 3%대인데 한국은 1.54%로 절반 수준인 데다 역대 최저치를 기록 중이라고 강조했다. 가산금리도 1.5% 수준인데, 2010년 2%를 넘었던 것에 비하면 낮아진 것이라고 항변했다. 서 연구위원도 “지난해 2분기 전후로 가산금리가 올라간 뒤 1.3∼1.5% 수준에서 등락 중”이라며 “유의미한 추세변동은 아직 없다”고 설명했다.
글=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
“트럼프 당선이 단기적으로 국내 금리 급등시킬 가능성”
입력 2016-12-05 18:40 수정 2016-12-05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