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부분 고치지 않겠다” ‘대한민국 수립’ 표현도 유지

입력 2016-12-05 18:12
교육부가 미화 논란을 빚은 국정 역사 교과서의 박정희 전 대통령 부분을 고치지 않겠다고 밝혔다. 친일 행위에 면죄부를 준다는 비판을 받는 ‘대한민국 수립’ 표현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교육부와 국사편찬위원회(국편)는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정 교과서 현장검토본 의견 수렴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달 28일∼지난 2일 웹사이트 등을 통해 접수된 의견을 취합한 결과다.

진재관 국편 편사부장은 박 전 대통령 미화 논란에 대해 “사람과 경향에 따라 보는 시각이 다르다”며 “국정 교과서(의 서술)는 집필진과 국편이 중립을 고민한 결과”라고 말했다. 교육부도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 수립’ 표현은 오는 12일 학술토론회에서 의견을 듣기로 했다. 진 부장은 “학술토론회의 결론이 학문적으로 타당하고 국민적 합의나 공감을 얻으면 수정한다”면서도 “첨예하게 이념이 얽혀 있어 결론 내긴 어렵고 몇 년은 토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정 역사 교과서는 내년부터 학교현장에서 쓰인다.

교육부는 제출된 의견 984건(2일 기준) 중 13건은 즉각 반영키로 했다. 85건은 추가 검토를 하기로 했다. 나머지는 참고 의견으로 분류했다. 즉각 반영 의견은 명백한 사실 오류들로 세형동검 출토지역이 중학교와 고교 교과서가 다른 부분, 김홍도 사진을 김정호 사진으로 잘못 쓴 경우 등이다. 검토가 필요한 85건은 학설이나 시각이 엇갈리는 내용이다.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는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아닌 대명혼일도라는 의견이나 파독 광부·간호사에 대한 추가 기술, 간도 서술 축소, 평화의 소녀상 삭제 등이다.

이도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