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재 겹겹… 악소리 나는 롯데

입력 2016-12-06 04:01
롯데그룹이 ‘최순실 게이트’에 중국 정부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까지 대내외 악재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여기에 면세점 입점 로비 의혹과 관련해 신동빈 회장이 국정조사 증인 출석에 이어 검찰 수사까지 진행 중이어서 그야말로 사면초가 신세다.

5일 재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는 롯데 중국법인에 세무조사와 소방 및 위생점검, 안전점검 등 전방위 조사를 벌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내 다른 한국 기업은 이 같은 조사를 받지 않고 있다. 때문에 중국 정부가 경북 성주 롯데골프장을 사드 부지로 제공한 롯데에 대해 보복성 규제에 나섰다는 정황이 뚜렷해지고 있다.

중국 정부의 집중 견제로 롯데의 중국 사업은 ‘올 스톱’ 위기에 처했다. 당장 롯데그룹 내 7개 계열사가 3조원을 투입한 대형 프로젝트인 ‘롯데타운’ 사업이 위태로운 상황이다. 롯데타운은 2019년 중국 선양에 쇼핑시설, 테마파크, 호텔 등으로 이뤄진 대규모 복합단지를 짓는 프로젝트다. 중국이 사드 보복 조치를 본격화하면 준공 허가를 지연하는 등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 업계에서는 롯데그룹의 중국 내 사업 규모가 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 적잖은 손실이 우려된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롯데면세점 역시 문제다. 롯데면세점 매출의 70% 이상이 중국인으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중국 정부가 ‘저가 관광 규제’를 내세우며 한국 관광객 숫자를 줄이고 있는 상황이어서 매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롯데는 중국 내 광고를 올해부터 중단한 상태다. 여기에 중국에서 운영해 온 홈쇼핑 사업 역시 매각에 나섰다. 최근 일부 지역 홈쇼핑 영업권도 처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내 120여개에 이르는 백화점·마트 역시 정상 영업이 차질을 빚을 것이란 우려가 크다.

롯데는 또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 재개장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되면서 특허권 획득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연 매출 6000억원가량을 올렸던 월드타워점은 추가 면세점 선정 방침 발표 때만 해도 재개장이 유력했다. 하지만 국정조사와 특검 등에서 면세점 의혹이 집중 부각될 수밖에 없어 심사위원들이 롯데면세점에 후한 점수를 주기엔 부담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6일 국정조사 청문회 증인으로 나서는 신 회장은 이날 일정을 비워놓고 청문회 준비에 집중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엄숙한 상황인 만큼 사실 위주로 국정조사 질문에 대비해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지난해 한 차례 국감 출석 경험이 있어 별도 리허설은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