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2만 촛불의 힘… 비박 “탄핵 찬성”

입력 2016-12-04 17:53 수정 2016-12-04 21:48
300여개의 횃불이 지난 3일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 앞에서 타오르고 있다. '박근혜 즉각퇴진의 날'(6차 주말 촛불집회)에 일부 참가자들이 자발적으로 들고 온 횃불은 경복궁역을 지나 청운효자동주민센터 앞까지 행진했다. 성난 듯 불타오르는 횃불 행진에 시민들도 가던 길을 멈추고 사진을 찍고 있다. 뉴시스

촛불의 인내가 임계치에 이른 모습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3차 대국민 담화로 촉발된 시민들의 분노가 3일 전국의 촛불집회를 또다시 사상 최대 집회로 만들었다. 9일 국회에서 탄핵안이 불발될 경우 평화집회 기조가 흔들릴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3일 전국에서 232만1000명(경찰 추산 42만9000명)이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박근혜정권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은 이날 열린 ‘박근혜 즉각퇴진의 날’(6차 주말 촛불집회)에 역대 최대 규모인 170만명이 서울 광화문 일대에 모였다고 밝혔다. 부산 22만명, 광주 15만명, 대구 4만명 등 지역에서도 62만1000명이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광화문의 경우 100만명 정도 모일 것이라던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규모다.

평화집회 기조는 이어졌지만 분노의 목소리가 이전보다 높았다. 청와대로 향하는 자하문로에는 촛불 대신 횃불을 든 행렬까지 등장했다. 일부 시민들은 “민주주의는 죽었다”며 경찰을 향해 국화를 던졌다. 경찰 차벽에는 ‘불법차벽 철거하라’는 플래카드도 붙었다. 이전 집회에서는 볼 수 없던 장면들이다.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도 시민 2만여명(주최 추산)이 모여 박 대통령의 3차 담화 뒤 탄핵에 소극적인 입장으로 돌아선 비박계를 규탄했다. 시민들은 ‘명예퇴진 어이없다’ ‘너희들과 타협 없다’는 구호를 외쳤다. 당사를 향해 계란도 날아갔다.

광화문광장에 모인 시민들은 오후 4시부터 청와대 동·남·서쪽 100m 지점까지 다가가 청와대를 포위한 채 “즉각퇴진”을 외쳤다.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이 앞장섰다. 일부 시민들은 100m 지점을 지키며 밤 12시까지 경찰과 대치했다. 연행자나 부상자는 없었다.

수백만 촛불이 모두 횃불로 바뀔지는 오는 9일 국회의 박 대통령 탄핵안 투표에 달려 있다. 부결된다면 시민의 분노가 어디까지 치솟을지 알 수 없다. 퇴진행동은 탄핵안 표결 하루 전인 8일부터 국회와 새누리당사 앞에서 촛불집회를 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10일에는 7차 주말 촛불집회가 광화문광장에서 열린다. 퇴진행동은 “즉각 퇴진이 이루어질 때까지 시민들은 흔들리지 않고 광장에 모일 것”이라고 밝혔다.

6차까지 촛불집회에 참여한 연인원은 500만명을 넘어섰다. 에리카 체노워스 미국 덴버대 정치학 교수는 2013년 ‘국가 전체 인구의 3.5%가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비폭력 집회를 이어간다면 결국 정권이 무너진다’고 주장했다. ‘3.5% 법칙’은 이미 넘어섰다. 한국 인구 5168만명의 3.5%는 180만명이다. 앞서 열린 5차 주말 촛불집회 때도 전국적으로 190만명이 참석했다.













김판 임주언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