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더 오르기 전에” 11월 주택담보대출 다시 3조대↑

입력 2016-12-05 04:09

금융 당국이 가계부채를 강력하게 억누르는데도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11월 3조원대 증가세를 기록했다. 대출요건 강화 움직임에다 이달로 예고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맞물리면서 금리가 더 오르기 전에 서둘러 대출을 받겠다는 수요가 몰리는 것이다.

6개 시중은행(KB국민·신한·KEB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은행)은 지난달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총 380조6383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3조1633억원 늘었다고 4일 밝혔다. 10월에는 전달보다 2조8732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는데, 한 달 만에 다시 3조원대 증가세로 올라섰다.

은행별로 KEB하나은행 1조8449억원, 우리은행 1조503억원, KB국민은행 5412억원, NH농협은행 1169억원, IBK기업은행 68억원 순으로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늘었다.

대출 총량은 은행별 가산금리 책정에 따라 수시로 늘고 주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정부의 강력한 가계대출 억제책이 시행 중이고, 11월은 부동산 비수기라는 걸 감안하면 이례적인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우선 ‘주택시장 불길’이 쉬이 꺼지지 않고 있는 점을 지목했다.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매매는 1만1134건으로 10월(1만3025건)과 비슷했다.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주택금융공사의 보금자리론(서민형 주택담보대출)도 10월에 2조5753억원을 팔았다. 월 단위 판매액이 역대 최고치다. 모두 주택매매 활성화를 보여주는 수치들이다.

여기에 기왕 받을 대출이니 서둘러 받자는 수요가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당장 신용정보원은 오는 9일부터 고객의 총부채원리금상환부담비율(DSR) 정보를 은행에 제공할 방침이다. 금융 당국은 총부채상환비율(DTI)보다 강화된 DSR이 금융권 전체 여신심사에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DSR은 DTI보다 정교한 지표다. 주택담보대출뿐만 아니라 카드론, 신용대출 등의 원금까지 부채상환비율에 넣어 계산한다. 대부분 나라는 DSR을 여신심사의 표준으로 삼고 있다. 현재 DTI가 60%를 넘으면 대출 한도가 제한된다. 하지만 원금 상환을 만기로 미루고 이자만 내는 거치식 대출의 상환 부담만 반영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여기에다 집단대출 가운데 잔금대출 추가 규제는 내년부터 진행된다.

오는 13∼14일(현지시간)로 예고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 회의도 대출자들의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내년에는 더 대출을 받기 힘들어질 것이란 예측이 많아지면서 연말에 대출 가수요를 촉발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