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의 회군… “朴 조기퇴진 밝혀도 표결”

입력 2016-12-04 17:54 수정 2016-12-05 00:20
새누리당 비주류가 오는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참여해 찬성표를 던지기로 4일 결정했다. 비주류는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라는 전제를 달았다. 그러나 야(野) 3당은 “탄핵을 제외한 여야 협상은 없다”는 입장이어서 9일 야당과 여당 비주류의 연대를 통한 탄핵안 가결 가능성이 높아졌다. 탄핵을 놓고 분열 조짐까지 보였던 새누리당 비주류는 촛불 민심에 놀라 탄핵을 선택했다.

비주류 모임인 비상시국위원회는 이날 국회에서 회의를 열고 “여야 합의가 없다면 9일 탄핵안 표결에 참여한다”고 결론 내렸다. 대변인 격인 황영철 의원은 “여야가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퇴진) 협상에 임할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면서 “여야 합의에 이르지 못한다면 박 대통령의 (퇴진) 입장 표명과 별개로 9일 탄핵 표결에 조건 없이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당초 ‘박 대통령의 내년 4월 퇴진·6월 조기 대선’을 당론으로 정했으나 불타오르는 탄핵 여론을 감안해 입장을 선회했다.

황 의원은 특히 “탄핵안이 가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회의에 김무성 전 대표, 유승민 의원 등 현역 의원만 29명이 참석한 것을 감안하면 탄핵안은 무난히 국회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야당과 무소속 의원 모두가 찬성한다고 가정할 때 새누리당에서 28명이 찬성표만 던져도 탄핵은 가결된다.

일부 의원들이 박 대통령의 입장 발표를 지켜보자는 주장을 펼쳤으나 탄핵 표결 참여와 찬성 주장이 다수를 이뤘던 것으로 알려졌다. 비주류 의원들은 박 대통령과의 면담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다.

비주류의 선택은 촛불 민심에 굴복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일보가 3∼4일 오전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 38명을 대상으로 긴급 전화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5명이 ‘박 대통령이 내년 4월 퇴진, 명확한 2선 후퇴를 동시에 밝힐 경우 탄핵소추안 투표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새누리당은 지난달 29일 박 대통령의 3차 대국민 담화 이후 ‘내년 4월 퇴진과 6월 조기 대선’을 당론으로 채택했고, 비주류 사이에서도 질서 있는 퇴진 기류가 강해졌다.

하지만 232만의 촛불 민심이 청와대와 여의도를 압박하자, 민심의 심판을 우려해 급속히 방향 선회가 이뤄졌다. ‘여야 합의가 없으면 탄핵 표결에 참여하겠다’고 답한 의원은 10명에 불과했으나 반나절 만에 대세가 역전됐다.

야당은 일제히 환영했다. 더불어민주당 금태섭 대변인은 “여야 합의는 탄핵 가결로 이뤄야 한다”고 밝혔고, 정의당은 “탄핵 이외에 여야 합의는 없다”고 강조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