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내년도 예산안에서 ‘최순실 예산’은 대폭 삭감됐지만 ‘친박(친박근혜)’과 ‘야권실세’는 실속을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민원성 지역구 예산이 늘면서 사회간접자본(SOC)에 투입되는 돈은 4000억원 늘었다.
4일 국회와 정부에 따르면 분야별 예산이 전반적으로 삭감되면서 전체 예산안 규모(지출 기준)는 정부안 대비 2000억원 줄어든 400조5000억원으로 책정됐다. 반면 이례적으로 SOC예산은 독보적으로 증액됐다.
우선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의 지역구인 전남 순천에 들어서는 호남권 직업체험센터는 ‘이정현 예산’이라는 이유로 국회 상임위에서 29억원이 잘려나갔다. 하지만 예결위 심사단계에서 정부 원안대로 60억원이 유지됐다. 순천대 체육관 리모델링과 순천만 국가정원 관리 예산은 각각 6억3000만원, 5억원이 추가 편성됐다. 친박 핵심 최경환 의원의 지역구인 경북 경산을 지나는 대구선 복선전철 사업비는 정부 원안보다 110억원 늘었다. 경산시가 주관하는 자기유도·공진형 무선전력 전송산업 기반 구축사업도 10억원 증액됐다.
여기에 최근 새누리당 사무총장에서 물러난 박명재 의원의 지역구인 경북 포항은 양포항 시설정비 예산과 등대박물관 예산에서 각각 기존 편성 금액보다 10억원을 더 챙겼다. 현 정부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민경욱(인천 연수을) 의원은 인천발 KTX직결사업 예산을 정부안 대비 10억원 더 늘렸다. 정진석 원내대표의 지역구인 충남 공주·부여·청양군에도 공주박물관의 수장고 건립을 위한 예산 7억6000만원이 증액됐다.
국민의당에선 박지원 비대위원장 지역구인 전남 목포에 광주∼목포 호남고속철도 건설을 위한 예산이 무려 656억원 추가 투입된다. 남해양수산과학원 목포지원청사 신축비용은 10억원, 목포시 보훈회관 예산은 2억5000만원 늘었다. 유성엽 사무총장의 지역구인 전북 정읍시·고창군의 경우 정읍경찰서 신축비용으로 10억원 등이 추가 편성됐다.세종=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친박·野실세, 예산은 다 챙겼다
입력 2016-12-04 18:00 수정 2016-12-05 1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