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브리핑] 구조조정 대상 부실 中企 늘었을까?

입력 2016-12-04 18:17
구조조정에 돌입하게 될 국내 부실 중소기업 수가 이번 주에 공개된다. 계속되는 경기 침체로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이 늘었을지 주목된다.

금융감독원은 6일 2016년도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를 발표한다. 금감원은 채권은행들과 함께 신용공여액 50억원 이상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을 평가해 왔다. 부실 정도에 따라 4개 등급(A·B·C·D)으로 분류된다. C·D등급이 구조조정 대상이다. C등급은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 D등급은 법정관리 절차를 밟게 된다. 다만 개별 기업의 명단을 공개하지 않는다. 지난해 부실 중소기업 수는 175개로 전년보다 50개(40%) 이상 증가했었다.

통계청은 8일 장래인구추계를 내놓는다. 지난해 실시한 인구 총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총인구 및 생산가능인구의 변화 추이, 연령·성별 인구 등을 전망하는 통계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경기를 진단한 ‘12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8일 발간한다. 지난달 그린북은 “소비, 투자 등 내수가 조정을 받으면서 생산도 부진한 모습”이라는 진단을 내놨다.

이번 주 우리 증시는 현지시간으로 4일 열린 이탈리아 헌법 개정 국민투표 결과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투자 김용구 연구원은 “개헌안이 부결되면 이탈리아의 정치적 혼란이 불가피하다”며 “달러 강세를 자극해 한국 증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8일에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통화정책 회의를 연다. 이탈리아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가 국채매입 확대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