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롯데 전방위 조사… 사드 부지 제공 보복 추정

입력 2016-12-01 18:45 수정 2016-12-01 21:47

중국 정부가 현지에 진출한 롯데그룹에 대해 세무와 소방, 위생 문제 등을 이유로 전방위 조사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롯데그룹의 한국 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부지 제공에 따른 보복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1일 “지난 29일부터 중국에 진출한 롯데 백화점과 마트 매장의 경우 소방안전과 위생점검이 일제히 이뤄졌고 법인 본부에 대해서는 세무조사도 진행됐다”면서 “중국 롯데에 대해 동시다발적인 조사가 이뤄졌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롯데의 중국 법인 고위 관계자도 “중국 내 모든 점포가 대상은 아니지만 우리를 특정해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베이징 롯데마트 매장을 비롯해 랴오닝성 선양과 쓰촨성 청두의 롯데백화점 매장은 소방 관련 일제점검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상하이의 롯데 중국 본부에서도 상하이시 단위의 세무조사가 실시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롯데케미칼, 롯데제과의 중국 공장에서도 중국 측 점검단이 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선양과 청두의 롯데캐슬 모델하우스의 경우 폐쇄 요구를 받았다는 얘기도 들린다.

이와 관련해 주중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우리 기업이 부당한 차별적 대우를 받지 않도록 다각적인 대응책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지난 16일 “롯데상사와 경북 성주의 스카이힐 컨트리클럽 148만㎡와 경기도 남양주 퇴계원의 제2군수사령부 예하 15보급대대 주둔지 20만3000㎡를 교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중국이 이를 이유로 롯데에 괘씸죄를 적용해 보복성 조사에 나섰을 것이란 추정이 나오고 있다.

한 소식통은 “각기 다른 지역에서 벌어진 동시다발적 조사는 중앙정부 차원의 지시가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라며 “사드와 관련해 롯데를 표적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롯데 외에 중국에 진출한 다른 대기업들도 한국 업체 전반으로 불똥이 튀는 것이 아닌지 우려하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최근 중국 인터넷 매체를 중심으로 중국 당국이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한국 연예인의 방송 출연과 공연을 차단하는 등의 업그레이드된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이 발동됐다는 소문이 돌기도 있다.

전문가들은 내년 사드 배치를 앞두고 중국이 잇따른 보복성 조치로 한국 내 사드 배치 반대 여론을 확산시키려 했을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롯데에 대한 전방위 조사가 사드와 관련이 있느냐는 질문에 “상황을 알지 못한다”면서 “관심이 있으면 유관부문에 문의하라”고 말했다. 이어 “사드에 대한 우리 입장은 매우 명확하다”면서 “사드의 한국 배치를 결연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