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가락 ‘탄핵 대오’… 결국은 대선 수싸움

입력 2016-12-02 00:22 수정 2016-12-02 04:09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처리 일정을 놓고 야권 균열이 심화되고 있다. 오는 9일 탄핵안 본회의 의결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1일 오후 긴급 회동을 갖고 박 대통령 탄핵안 2일 본회의 의결 합의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탄핵안 통과 열쇠가 국민의당과 새누리당 비주류 손에 있다는 사실만 확인했다.

2일 무산된 탄핵소추안은 이르면 5일, 늦어도 9일 본회의에는 안건으로 상정될 가능성이 있다. 일단 야3당 지도부는 정기국회 내 탄핵안 처리에 이견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5일이나 9일 본회의에서 박 대통령 탄핵안이 통과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새누리당이 이날 의원총회에서 내년 4월 퇴진, 6월 조기 대선을 박 대통령 ‘퇴진 로드맵’으로 확정했다. 새누리당 비주류 좌장인 김무성 전 대표는 박 대통령 퇴진을 전제로 ‘탄핵 불필요성’을 언급했다. 현재 야권과 무소속 의석은 172석이다. 박 대통령 탄핵안 발의는 새누리당 비주류 도움 없이 가능하지만 본회의 의결을 위해서는 최소 28명의 새누리당 ‘이탈표’가 반드시 필요하다.

야3당은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을 전방위로 접촉해 찬성표를 확보하겠다고 밝혔으나 상황은 녹록지 않다. 민주당 비주류 중진 의원은 “새누리당 비주류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아 9일 본회의 의결도 자신할 수 없다”며 “지금부터는 새누리당 비주류 달래기에 모든 의원이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야권 내부 균열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야3당 대표는 서로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공개적으로 드러냈다. 박 위원장은 추 대표와 김 전 대표의 단독 회동을 놓고“어제 야3당 대표회담에서 여당과 대화하지 말자던 추 대표가 한 마디 상의도 없이 지난번 대통령 단독회담을 요구했던 것처럼 김 전 대표와 회동했다”며 “왜 혼자 이러고 다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심 대표는 탄핵안 발의를 거부한 박 위원장을 겨냥해 “임기 단축 협상은 없다고 합의했는데 잉크도 마르기 전에 협상 목소리가 나왔다”며 “야당의 자중지란은 박 대통령이 노리는 것이고, 국민이 가장 우려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자중지란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전날 민주당 의원들의 SNS 대화방에서는 탄핵 신중파 의원과 즉각 탄핵파 의원 간 설전이 벌어졌다. 민주당 일부 초선 의원은 ‘탄핵안 발의가 늦춰지면 탈당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야권에서는 문재인 전 대표를 필두로 대권에 가장 접근했다고 판단한 민주당과 안철수 전 대표의 추격을 지원해야 하는 국민의당이 탄핵 주도권을 놓고 경쟁하면서 ‘제살 깎아먹기’를 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지지율 1위’ 대권 주자를 확보한 민주당은 거대한 촛불민심을 등에 업고 속전속결로 조기 대선을 치르는 것이 유리하다. 반면 국민의당은 ‘캐스팅 보터’로서 탄핵 국면은 물론 이후 정국 수습 과정에서도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몸값을 최대한 올려야 한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