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교육청에서 개발 중인 역사 교재가 북한을 찬양했다”며 색깔론을 들고 나왔다. 국정 역사 교과서 공개 후 부실한 내용과 편향된 서술이란 비판을 받아 궁지에 몰렸던 교육부가 반격에 나선 셈이다. 특정감사, 법적 조치 등을 예고하며 국정 교과서를 거부하고 있는 교육감들을 직접 겨냥했다.
교육감들은 국정 교과서 거부 방침을 재확인했다. 애꿎은 학생과 학부모들이 피해를 입을 것이란 우려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대입을 준비하는 고교생의 피해가 우려된다. 역사 교사들 사이에선 “정부가 ‘박근혜 효도 교과서’를 지키려고 교육 현장을 파국으로 몰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영 교육부 차관은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각 지역 교육청이 개발하고 있는 (역사) 보조교재를 분석한 결과 문제점이 발견됐다”며 “평양을 세계적인 계획도시라고 미화했다”고 밝혔다. 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대한 권한이 학교장과 학교운영위원회에 있는데 교육감이 절차를 무시하고 교육과정 변경을 요구했다”며 “시정명령·특정감사 등 모든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날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내년에 중학교 1학년 역사 과목을 편성한 19개교 교장을 불러 역사 과목 편성을 하지 않도록 한 것에 대한 교육부 차원의 대응이다.
교육부는 또 ‘교육청 개발 교수·학습자료 내용 적합성 분석 결과’란 자료를 냈다. 광주교육청 교재에선 “세계적인 계획도시이자 전원도시로 알려진 ○○는 고구려 수도이기도 했던 유서 깊은 도시”라고 평양을 소개했다. 또 “연평도 포격의 주범, 천안함 침몰의 원흉, 핵실험을 반복하는 세계평화 위협의 문제아라며 북한에 적개심을 갖는 게 맞는 걸까요?”라며 도발 책임을 희석시켰다고 비판했다. “글로벌 호크의 다른 이름은 글로벌 호구. 글로벌 호크 도입 예산이면 1400여개의 국공립 어린이집을 연다”란 대목도 문제 삼았다. 다른 초등학생 교재에선 동학농민혁명의 ‘죽창가’ 노래를 소개하며 “청송 녹죽 가슴에 꽂히는 죽창이 되자 하네”라는 노랫말을 가르친다고 비판했다.
교육청들은 물타기란 입장이다. 국정 교과서에 반감이 크게 일자 색깔론으로 비판을 희석하려는 꼼수란 것이다. 특히 감사와 법적 조치 등을 예고한 점에 반발했다.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교육감이 학교장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협의한 건 지방교육자치법에 의한 조치이지 특정감사나 시정명령 대상이 아니다”며 “국정 교과서가 현장에 배포됐을 때 학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학교장들과 교육과정 재편성에 합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국역사교사모임 김태우 대표는 “교육부가 내놓은 국정 교과서는 도저히 역사 수업이 불가능할 정도로 엉터리”라며 “이대로 나오면 학교 현장, 특히 고교 교실은 극도의 혼란에 빠질 것이다. 이런 혼란을 알고도 국정화를 강행하는 건 교육적 의도로 볼 수 없고 청와대 눈치만 살피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도경 이가현 기자 yido@kmib.co.kr
[기획] “교육청 역사교재 北 찬양”… 색깔론 반격
입력 2016-12-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