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서있는 퇴진’ 외치는 친박… 폐족 막기 몸부림?

입력 2016-11-30 00:17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직후 국회에서 열린 당 비상시국회의 모임 중 전화를 받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의원총회에 참석한 서청원 의원. 뉴시스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는 29일 박근혜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을 한목소리로 지지했다. 명분은 박 대통령 스스로 ‘퇴진 로드맵’을 제시한 만큼 국정 혼란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야권과 여당 일각에선 박 대통령 탄핵 이후 친박계가 폐족(廢族)으로 전락하는 상황을 막기 위한 ‘생존전략’이라고 해석했다.

친박 의원들은 박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개헌을 통한 임기 단축 방식에 적극 찬성했다. 서청원 의원은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야당은 대통령이 퇴진하지 않을 경우 탄핵으로 가려고 했는데 대통령이 물러나겠다고 한 이상 그것은 국민에 대한 설득력이 약할 것”이라고 했다.

특히 탄핵을 막고 명예로운 퇴진의 길을 여는 데 공을 들였다. 최경환 의원은 “이제 국회에서 질서 있는 퇴진 방안을 잘 마련해서 국정 혼란을 최소화하도록 국회가 주도적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야당의 탄핵 강행 움직임에 대해 “국회에서 여야 간 협의를 해서 좋은 안을 도출해야 한다”며 “그게 국회의 책무”라고 했다.

이정현 대표는 “대통령 본인이 임기를 줄이겠다고 발표했으니 국회에서 그 방법을 결정하면 된다”고 했다. 이어 “탄핵이든 뭐가 됐든 국회에서 결정하면 된다”며 “우리 국회가 그것도 결정하지 못할 정도로 능력 없는 집단은 아니다”고 했다.

그러나 야권은 ‘친박의 고육지책’이라고 의심했다. 친박 핵심 중진 의원들이 28일 ‘명예 퇴진’을 박 대통령에게 건의한 다음 날 박 대통령이 이를 수용하는 듯한 모양새를 취한 것을 놓고 “짜인 각본 아니냐”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