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는 29일 박근혜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을 한목소리로 지지했다. 명분은 박 대통령 스스로 ‘퇴진 로드맵’을 제시한 만큼 국정 혼란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야권과 여당 일각에선 박 대통령 탄핵 이후 친박계가 폐족(廢族)으로 전락하는 상황을 막기 위한 ‘생존전략’이라고 해석했다.
친박 의원들은 박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개헌을 통한 임기 단축 방식에 적극 찬성했다. 박 대통령이 여야 정치권에 마련해 달라고 한 ‘법 절차를 따르는 정권이양 방식’에 부합한다는 취지다.
친박계는 특히 탄핵을 막고 명예로운 퇴진의 길을 여는 데 공을 들였다. 비주류 진영에서도 찬성 여론이 있는 개헌을 지렛대로 삼았다. 한 친박 중진 의원은 “탄핵을 피하는 대신 명예 퇴진으로 가야 예측 가능한 정치 스케줄을 짤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일부 친박 의원들은 “박 대통령이 국민의 요구에 부응한 것”이라고도 했다.
그러나 야권은 ‘친박의 고육지책’이라고 의심했다. 마지막 순간까지 박 대통령을 엄호하려는 의도뿐 아니라 친박 스스로 살 길을 찾으려는 속내를 숨기고 있다는 얘기다. 친박 핵심 중진 의원들이 28일 ‘명예 퇴진’을 박 대통령에게 건의한 다음 날 박 대통령이 이를 수용하는 듯한 모양새를 취한 것을 놓고 “짜인 각본 아니냐”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새누리당 비주류 일부 의원들도 “위기에 몰린 친박이 인적 쇄신 칼날을 피하면서 박 대통령도 살리려는 묘수를 찾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탄핵 이후 비대위 전환으로 새누리당 내 친박 입지가 한순간에 위축되는 위기 국면을 벗어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시각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질서있는 퇴진’ 외치는 친박… 폐족 막기 몸부림?
입력 2016-11-29 2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