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장모인 김장자 삼남개발 회장이 최순실 국정농단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됐다. 김 회장은 우 전 수석과 ‘비선실세’ 최순실씨의 연결고리로 지목받고 있다. 국민연금공단이 삼성그룹의 편법 승계를 도왔다는 의혹과 관련해 증인 채택이 합의됐던 장충기 삼성전자 미래전략실 사장이 최종 명단에서 빠지면서 특혜 의혹도 제기됐다.
국회 ‘박근혜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는 29일 전체회의를 열어 청문회 추가증인 채택을 확정했다. 다음달 6일 1차 청문회 증인으로는 장충기 사장 대신 김종중 삼성그룹 미래전략팀장(사장)과 김신 삼성물산 사장이 추가됐다. 최광 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황완선 전 국민연금 기금관리본부장, 박원오 전 국가대표 승마팀 감독도 포함됐다. 기존에 채택된 이재용 정몽구 최태원 구본무 신동빈 김승연 조양호 손경식 등 8대 그룹 총수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허창수 회장·이승철 부회장까지 합치면 1차 청문회 증인은 총 15명이다.
1차 청문회는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 의혹 규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한 뒤 두 재단에 거액을 출연한 경위를 재계 총수들의 입으로 직접 듣겠다는 것이다. 최근 급부상한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을 통한 편법승계 의혹도 다뤄진다. 특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을 상대로 합병 과정에서 삼성의 로비 여부와 국민연금공단 역할 등을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다음달 7일 2차 청문회에는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주요 연루자들이 총출동한다. 최순실 최순득 장시호 정유라 차은택 고영태 이성한씨와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안종범 우병우 조원동 전 수석, 정호성 이재만 안봉근 전 비서관 등에 추가로 채택된 증인들을 더해 총 27명이다.
추가 증인들은 최순실 최순득 자매의 국정 개입 과정을 규명할 핵심 연루자 위주로 선정됐다. 우선 김장자 회장은 사위인 우 전 수석을 겨냥한 카드다. 우 전 수석은 그간 최씨 추천으로 청와대 민정수석이 됐다는 의혹을 부인해 왔다. 하지만 김 회장이 2014년 6월 최씨, 차은택씨와 골프를 친 것으로 드러나면서 우 전 수석과 최씨의 커넥션이 쟁점으로 급부상했다.
최씨 딸 정유라씨의 초등학교 동창 학부형으로 특혜 납품 의혹을 받고 있는 이종욱 KD코퍼레이션 대표, 문화체육계의 ‘최순실 사단’으로 지목된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과 송성각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 및 여명숙 게임물관리위원장, 류진룡 전 문체부 장관, 노태강 전 문체부 국장 등이 증언대에 오른다. 이밖에 홍기택 전 산업은행 회장, 김재열 제일기획 사장, 정현식 전 K스포츠재단 사무총장, 전대주 전 주베트남 대사, 조인근 전 청와대 연설기록비서관, 최순득씨 아들 장승호씨도 증인으로 추가 채택됐다.
독일 체류 중으로 알려진 정유라씨의 출석 여부도 관심사다.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은 “정씨의 소재를 추적하는 등 여러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재계와 전직 공직자 등이 총망라된 사상 최대 규모의 청문회 증인 채택을 두고 진통도 잇따랐다. 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당초 예정됐던 삼성전자 장충기 사장이 추가 증인에서 제외되자 삼성의 로비 의혹을 제기했다. 새누리당 이혜훈 의원이 특위 위원직을 사임하면서 같은 당 이종구 의원이 새로 투입되기도 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우병우 장모’도 청문회 부른다
입력 2016-11-30 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