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9일 조건부 퇴진 의사를 밝히면서 ‘책임 총리’와 대통령 권한대행 문제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 물론 박 대통령의 퇴진을 위해서는 개헌이라는 전제 조건이 해결돼야 하는 만큼 당장 책임 총리와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다.
박 대통령이 제3차 대국민 담화 내용대로 여야 합의 ‘시간표’에 따라 퇴진한다면 황교안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된다. 그러나 황 총리가 임기 내내 야권과 강하게 대립각을 세웠던 만큼 야당은 황 총리 권한대행 체제를 용인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야권은 박 대통령 퇴진 시 황 총리의 사의도 받아야 한다는 기류가 강했다. 황 총리가 박 대통령과 동반사퇴하면 현 경제부총리인 유일호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하게 된다.
현재 국무총리실은 황 총리와 김병준 국무총리 내정자의 이상한 ‘동거 체제’가 한 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박 대통령이 퇴진 의사를 밝힌 만큼 야당이 ‘국정혼란 최소화’를 이유로 김 내정자 총리 임명에 동의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김 내정자가 일정이 앞당겨진 제19대 대통령 선거를 관리하게 된다. 앞서 박 대통령이 국회에 국무총리 추천을 요구했던 만큼 ‘제3의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권한대행 황교안?… 野, 총리 고민
입력 2016-11-29 1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