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교통량 증가로 정체 현상을 빚고 있는 하늘 길의 교통 흐름을 관리하기 위해 시스템을 구축한다. 기상 악화나 테러 등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위기 대응 컨트롤타워도 만든다.
정부는 2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7차 안전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항공교통관리 안전강화방안’을 확정했다.
국토교통부는 “항공교통량은 하루 평균 2011대로 최근 10년간 6.3% 증가했고 2035년이면 교통량이 2배 가까이 늘어날 것”이라며 “항공교통량이 급증하면서 혼잡으로 인한 항공기 지연이 발생했고 안전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면서 대책 마련에 나섰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동안 관제사의 경험과 제한적 정보에 의존했던 항공교통 흐름관리를 개선하기 위해 ‘항공교통흐름관리시스템’(ATFM)을 구축, 내년 7월 시범 운영키로 했다. 미국과 호주에서 사용 중인 에어버스사의 교통량 예측, 분석, 모델링 프로그램을 참고했다.
관제기관, 항공사, 공항 등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정보와 대응 방안도 공유한다. 또 승객의 장시간 기내 대기와 항공기 엔진 공회전을 막기 위해 탑승 시간은 변경된 출발시간에 맞게 조정한다.
기상악화, 테러 등 비상 상황에 대비한 위기대응 컨트롤타워도 구축한다. 이를 위해 내년 7월과 8월에 각각 항공교통통제센터와 제2항공로 관제센터(ATC)를 설치하기로 했다.
미국에선 9·11테러 당시 미 교통통제센터가 비행 중이던 4000여대의 항공기를 2시간 만에 인근 공항으로 안전하게 착륙시킨 바 있다.
단선인 동남아, 중국 방향 항공로는 입출항 전용으로 분리 운영할 수 있도록 복선화를 추진한다. 국토부는 입출항 분리 운영으로 수용량이 약 30%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동남아 항공로는 일본, 대만과 합의를 완료하고 각국에서 항공로를 설계 중이다. 중국 항공로는 내년 하반기 완료를 목표로 중국과 협의 중이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ATFM’ 내년 7월 시범 운영… 위기대응 컨트롤 타워도 구축
입력 2016-11-28 1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