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소 안된 고영태… 檢 “국정농단 곁가지”

입력 2016-11-29 04:07
검찰 수사로 하나둘 사실로 드러나는 국정농단 사태 가운데에는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 고영태(40)씨가 빠지지 않는다. 고씨는 최순실(60·구속 기소)씨의 최측근으로서 스포츠마케팅 회사인 더블루케이의 한국·독일법인 운영에 모두 깊이 개입한 인사다. 최씨의 지시에 따라 K스포츠재단 관계자들이 롯데 등을 찾아가 거액의 추가 출연금을 요청하는 현장에도 고씨가 동행했다.

미르재단으로 대표되는 최씨의 문화사업 중심에 차은택(47·구속 기소)씨가 있었다면, K스포츠재단을 위시한 체육사업은 고씨가 구심점 역할을 했다. 차씨가 최씨를 만날 수 있도록 2014년 4월 둘을 연결해준 이도 고씨로 드러나 있다. 최씨는 검찰에 구속돼 조사를 받던 중 둘을 지목하며 “내가 안 한 일도 내가 했다고 한다”고 오히려 측근들에게 이용을 당했다는 식으로 불만을 토로했다.

그럼에도 검찰 특별수사본부가 28일까지 재판에 넘긴 피고인 8명의 명단에는 고씨가 빠져 있다. 고씨는 국정농단 수사 초기였던 지난달 말 검찰에 자주 출석해 많은 진술을 했고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현재는 검찰의 수사선상에서 비켜 서 있다는 평가다. 검찰 관계자는 “고씨 혐의는 국정농단 큰 줄기에서 곁가지에 해당돼 서두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 수사의 우선순위에서 고씨가 밀려나 있는 큰 원인은 고씨가 실제 거둔 금전적 수익이 적다는 점이다. 이번 사건을 잘 아는 한 변호사는 “차씨의 경우 대기업 계열 광고를 실제로 유치했고 기존 기업의 인수를 꾀하는 등 수익이 잘 나올 수 있는 사업모델이었다”며 “반면 고씨는 K스포츠재단과 관련해 뭘 해보려 했지만 실패한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고씨에게 아시안게임 금메달보다 더 큰 유명세를 안겨줬던 ‘대통령 가방’ 회사 ‘빌로밀로’ 역시 현재는 폐업한 상태다.

최씨와 관계가 틀어진 고씨가 검찰 수사 초기에 비교적 협조적으로 응해온 점도 또 다른 원인으로 꼽힌다. 이번 사태에 깊이 개입한 고씨는 기초수사 과정에서 최씨의 행적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줄 ‘귀인’ 중 한 명으로 지목됐었다. 고씨는 언론에도 최씨가 박 대통령의 의상을 고르는 CCTV 영상 등을 제공하며 도움을 준 것으로 전해졌다.

고씨가 ‘최순실 파일’이 담긴 태블릿PC를 소지하다 JTBC 측에 건넸다는 의혹도 있었다. 하지만 검찰은 이 의혹에 대해 “고씨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고씨에 대한 기소 여부도 조만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