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광역단체 첫 흑자 道政

입력 2016-11-28 18:15
경남도가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채무제로를 이뤄낸 튼튼한 재정을 바탕으로 내년부터 흑자도정 운영, 경남미래 50년 사업, 서민복지 등을 중점 추진한다.

홍준표 경남지사는 28일 도의회 시정연설에서 내년 도정을 흑자도정, 경남미래 50년 사업, 서민복지 등에 중점을 두고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4년 전 홍 지사 취임 당시 경남의 채무는 1조 3488억 원으로 빚을 내서 빚을 갚는 악순환에 빠져 연간 이자만 380억 원을 부담해야 하는 파산 직전의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에 도는 무분별한 선심성 사업 폐지와 복지누수 차단, 거가대로 재구조화, 비효율적인 기금폐지 등 강력한 재정건전화 정책을 시행해 올 6월에 채무제로를 달성했다.

도는 이를 바탕으로 경남 미래 50년과 서민복지에 더욱 과감하게 투자해 5대 신성장 동력산업을 중심으로 경남 미래 50년을 준비한다.

먼저 지방재정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다는 목표로 채무제로 달성에 안주하지 않고 재정위기에 대비해 재정안정화 적립금 제도를 전국 최초로 시행한다.

2021년까지 1000억원을 적립해 경기 위축으로 인한 세입의 급격한 감소나 대규모 재난·재해에 선제적으로 대비한다.

또 경남 미래 50년 사업을 가속화해 내년부터 항공·나노·해양플랜트 3개 국가산업단지 공사에 본격 착수한다. 아울러 국가산단별 TF팀을 구성, 항공 MRO(소모성자재구매대행) 사업자 지정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밀양을 나노융합산업의 핵심기지로 조성하며 해양플랜트 산업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소외계층을 위한 서민복지예산은 올해보다 1032억원이 증가한 2조 6351억원을 편성했다. 이는 도 전체 세출 예산의 37.9%로 4년 연속 서민복지예산을 최대로 반영했다.

홍 지사는 “광역지자체 최초로 채무제로를 달성하면서도 서민복지를 강화하고 새로운 미래 50년의 기반을 굳건히 하고 있다”며 “지난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350만 도민만 바라보면서 당당한 경남시대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