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이 가까워질수록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와 비주류 간 입지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친박계는 갈수록 고립되는 반면 세 결집에 나선 비주류는 힘을 받고 있다. 사실상 두 집 살림 중인 새누리당은 탄핵소추안 처리 이후 완전한 결별 수순을 밟을 전망이다. 대규모 탈당(脫黨) 또는 분당(分黨)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정현 대표를 비롯한 친박 지도부는 거세지는 ‘촛불 민심’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다만 당 지도부 일괄 사퇴 방안을 논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오히려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친박 전열(戰列)’ 유지 방안을 모색 중이다. 당내 비주류도 탄핵소추안 표결 전 ‘무더기 탈당’을 결행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비주류의 한 중진 의원은 27일 “탄핵안 처리 시점이 당 해체의 최대 분수령”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 처리 이후 새누리당은 감당키 어려운 후폭풍에 빨려들어가게 된다. 탄핵소추안이 부결된다 해도 야당뿐 아니라 여당을 향해 분노한 ‘촛불 민심’이 들끓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표의 당직 유지 여부를 떠나 당내 리더십 공백 사태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탄핵소추안 표결 이후 비상대책위 전환 논의를 넘어 분당 사태가 현실화될 전망이다. 탄핵소추안이 가결될 경우 정진석 원내대표가 먼저 사퇴 선언을 하는 시나리오도 거론된다. 친박 지도부가 탄핵소추안 통과 후에도 자리를 지킬 경우 비주류 탈당 행렬은 줄을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비주류는 주류 친박계를 박 대통령과의 운명 공동체로 규정하고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비상시국위원회는 오후 회의를 열고 야권의 탄핵 추진 일정에 조건 없이 동참키로 했다. 다만 참석자 대부분은 예산안 등 많은 안건을 처리해야 하는 12월 2일보다는 9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핵소추안을 처리하는 게 적절하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에는 김무성 전 대표와 심재철 정병국 유승민 의원,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 원내외 40여명이 참석했다.
앞서 새누리당을 탈당한 전·현직 의원들도 모임을 가진 뒤 “정기국회 안에 박 대통령 탄핵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무소속 김용태 의원은 “12월 9일에는 하늘이 두 쪽 나도 탄핵 표결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김무성 전 대표의 역할도 변수다. 김 전 대표가 야권 인사들과 물밑 접촉을 하며 탄핵뿐 아니라 개헌을 지렛대로 한 정계개편 논의를 본격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친박 고립… 비주류 결집
입력 2016-11-28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