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공범 입증’ 내주 고비

입력 2016-11-25 17:47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 특별수사본부가 박근혜 대통령 뇌물 혐의 입증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주 분주하게 수집한 기업 압수물 분석과 관련자 소환을 주말에도 진행한다. 다음 주에도 검찰의 2차 박 대통령 서면조사 요청, 특별검사 출범 등 굵직한 일정이 예정돼 있어 검찰 수사의 향방을 가를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특검 출범을 앞두고 1주일 정도 수사시간을 확보한 검찰은 25일 삼성, SK, 롯데 등에서 압수한 자료를 토대로 박 대통령 뇌물 혐의를 조여들어가고 있다. 이날 SK의 면세점 업무 관련 임원도 소환했다. 검찰은 국민연금의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찬성이나 기업들의 K스포츠재단 추가 기금 출연, 정부의 면세점 사업권 확대 등 사안에 관련 기업들과 청와대의 뒷거래가 있었는지 살펴보고 있다. 박 대통령 뇌물 혐의 적용에 대한 검찰의 결론은 야당이 준비 중인 탄핵소추안 내용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야당은 박 대통령을 압박해가는 검찰 수사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특별검사 추천과 관련해 “최대한 늦게 발표해 검찰이 수사를 더 할 수 있도록 시간을 벌어주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야3당은 ‘최순실 국정농단 특검’ 후보 2명 추천을 기한 마지막날인 29일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의 임명 절차를 고려하면 다음 달 2일쯤부터 특검 수사 준비가 시작될 전망이다.

검찰의 박 대통령 대면조사 성사 여부도 관심을 끌고 있다. 검찰은 피의자가 된 박 대통령에게 29일까지 조사에 응하라고 23일 요청서를 발송한 상태다. 박 대통령은 조사를 받을지 여부조차 밝히지 않고 있다. 박 대통령이 대면조사를 끝까지 거부할 경우 강제수사 착수가 불가능한 검찰로서는 우회로를 찾을 수밖에 없다. 특검이 박 대통령을 기소할 수 있도록 박 대통령의 뇌물 혐의와 관련된 증거 및 진술을 최대한 확보해 특검에 송부하는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검찰은 포스코 계열 광고회사를 강탈하려 한 혐의를 받고 있는 최씨의 최측근 차은택(47·구속)씨와 송성각(58·구속) 전 콘텐츠진흥원장을 27일 동시에 기소할 방침이다.

노용택 양민철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