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디의 화폐개혁 성공할까… 인도 ‘돈세탁’ 꼼수 봇물

입력 2016-11-24 18:24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AP뉴시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탈세자 색출과 지하경제 양성화를 위해 화폐개혁에 나섰지만 이를 피하려는 부자·기업인의 꼼수도 만만치 않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돈세탁하는 사람들이 모디의 ‘현금 대청소’를 방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모디 총리는 지난 8일 기존 500루피(8600원)와 1000루피 지폐 사용을 전격 중지시키고 신권으로 교체하도록 했다. 구권의 교체나 은행 예치 기한은 다음 달 30일까지다. 현재까지 유통 중인 고액권의 40%에 달하는 5조5000억 루피어치가 회수됐다.

‘인도판 금융실명제’로 불리는 이번 조치는 25만 루피 넘는 구권을 은행계좌에 넣거나 신권으로 바꾸면 탈세 조사 대상이 된다. 이에 바꿔야 할 구권이 많은 사람들은 갖가지 방법으로 단속의 그물을 빠져나가려 한다. 금을 사서 해외로 밀반출한 뒤 되팔아 달러로 바꿔오는 것이 대표적이다.

어떤 부자들은 가난한 사람을 여럿 고용해 각 은행 지점에 구권을 분산 예치하거나 신권으로 교체하고 있다. 은행은 한 사람이 여러 차례 신권을 바꾸는 것을 막으려고 지워지지 않는 잉크를 손에다 찍고 있지만, 배터리 전해액을 희석시켜 잉크를 지우는 사람들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

한 가스 유통업자는 거래은행과 짜고 구권 사용 중지 전에 50만 루피를 예금했다는 허위 서류를 만들었다. 또 종업원 40명에게 수개월 치 월급과 보너스를 미리 현금으로 지급했다.

뉴델리에서 시민단체를 운영하는 자그딥 초카르는 “고액권 회수 조치는 ‘봄맞이 대청소’ 같은 것이어서 우리가 생활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는다면 다시 더러워지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