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재선충병 누른 산림청 ‘과학 방제’

입력 2016-11-24 18:43 수정 2016-11-24 21:55

다시 기승을 부리던 소나무재선충병이 산림청의 과학적 방제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1988년 처음 발생한 재선충병 피해 소나무는 2013년 4월 기준으로 48만여본에서 2014년 218만여본으로 급속히 늘었으나 2015년 174만여본, 지난해 137만여본으로 줄어들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크기 1㎜ 내외의 실 같은 선충이 매개충(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몸 안에 서식하다가 새순을 갉아먹을 때 상처 부위를 통해 나무에 침입, 양분의 이동통로를 막아 나무를 말라죽게 하는 병이다. 치료약이 없어 감염되면 100% 고사하게 하는 치명적인 병해충이다.

산림청은 전국 4개 지방산림청별로 맞춤형 재선충병 방제전략을 수립, 지방자치단체와 공동 및 협동방제를 강화함으로써 큰 성과를 냈다.

올해 피해고사목 137만여본을 비롯해 재선충병 서식처 역할을 하는 미감염 고사목 등 255만본을 모두 벌목하는 등 전량 방제를 실시했다. 특히 신규 발생지는 반경 2㎞ 이내를 정밀 조사해 모두 베어냈다. 37%에 그쳤던 파쇄 방식의 방제도 52%로 대폭 확대하는 등 선제적 방제 방식을 정착시켰다. 그 결과 전국 피해 발생 103개 시·군·구 중 54개에서 피해가 감소했다.

산림청은 지난해 6월 소나무재선충병 방재특별법을 개정, 국가의 방제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방제예산도 661억원에서 764억원으로 늘렸다. 또 지난 3월 ‘소나무재선충병 모니터링센터’를 발족하는 등 예찰과 모니터링 전문조직을 신설했다.

아울러 무인항공기(드론)와 ‘NFC 전자예찰함’ 등을 활용하는 등 예찰체계를 과학적 방식으로 고도화했다. 피해지역 재발생률에 대한 현장표준지 조사를 실시해 내년 4월까지 피해량을 예측하는 예찰·조사 시스템을 구축했다.

방제인력 전문화에도 힘쓰고 있다. 전국 담당 공무원 293명, 예찰·방제단 918명, 방제·현장인력 651명 등을 대상으로 실무 기술교육훈련을 실시했다.

산림청은 내년 4월까지 핵심방제 전략을 마련해 추진키로 했다. 핵심방제의 하나는 울진 금강송림을 포함한 우리나라 최대 소나무림인 백두대간 보호를 위해 경북 북부 및 지리산권역 선단지를 최우선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또 민통선 북부 지역과 강원도 지역으로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연천 포천 동두천 남양주 광주 등 경기도 북부와 동부 선단지 방제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이와 함께 소나무류의 불법 이동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미감염 확인증 외에 소나무류 생산확인표에도 QR코드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이동통제를 대폭 강화했다. 또 피해가 극심한 지역을 중심으로 105개 단속 초소를 설치해 기동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산림청은 재선충병 피해목의 산업적 이용도 활성화하고 있다. 열처리방제 인증제를 도입해 고부가가치의 원목 형태로 활용하기도 하고 포장재, 펄드재, 목재테크, 조경시설, 펠릿 등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