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남 검찰총장은… 사정라인 마비에 검찰 수장 거취에도 ‘시선’

입력 2016-11-24 00:01
김현웅 법무부 장관과 최재경 청와대 민정수석이 사의를 표명한 사실이 알려진 23일 김수남 검찰총장이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으로 출근하고 있다. 뉴시스

최재경 청와대 민정수석과 김현웅 법무부 장관이 함께 사표를 내면서 사정 지휘라인이 마비 상태에 빠졌다. 수사 총괄 책임자인 김수남 검찰총장의 거취 문제도 관심 사안으로 떠올랐다. 김 총장이 특별검사팀 출범을 전후해 진퇴 문제에 대한 결단을 내릴 거란 관측도 나온다.

김 총장은 “검찰 외부 상황과 상관없이 최순실 국정농단 수사는 흔들림 없이 가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23일 전해졌다. 한 검찰 간부는 “대통령까지 연루된 초대형 수사가 한창인 때 수장의 거취 문제를 거론하는 건 부적절하다. (김 총장의) 사의설은 음해”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 총장 주변 상황이나 청와대 기류 등 변수가 많은 게 사실이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최순실씨 등의 공소장에 박근혜 대통령을 공범으로 적시했다. 인사권자인 대통령에 대한 전면전 선포였다. 앞서 지난 16일 박 대통령이 검찰의 대면조사 요청을 거부했을 때도 김 총장은 “대통령 직접 조사가 불가피하다”고 압박했다.

검찰의 수사 결과에 대해 청와대는 “객관적 증거는 무시한 채 상상과 추측을 거듭해서 지은 사상누각일 뿐”이라고 공식 반박했다. 박 대통령 변호인은 “검찰 수사의 공정성을 믿을 수 없다”고 했다. 김대중정부의 마지막 검찰총장이었던 김각영 총장은 2004년 3월 노무현 대통령이 “검찰 수뇌부를 믿을 수 없다”고 하자 취임 4개월 만에 사표를 낸 적이 있다. 이번에는 대통령이 검찰 수사 내용 자체에 대해 “잘못됐다. 억울하다”며 노골적인 불신을 드러낸 상황이다. 사정 당국 고위 관계자는 “수사 정당성은 인정되지만 총장의 정치적 책임 문제는 남게 된다”며 “임명장을 준 대통령을 피의자로 만들었는데, 대통령이 인정할 수 없다고 나왔으니 총장의 선택지도 많지 않다”고 전했다. 김 총장이 이 사건 전면 수사를 지시할 때 이미 사표를 각오했다는 얘기도 있다.

김 총장은 자칫 다음달 특검이 가동되면 수사 대상에 오를 수도 있다. 특검에서는 2014년 서울중앙지검의 ‘정윤회 국정개입 문건’ 수사의 부실 여부도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김 총장은 당시 중앙지검장으로 수사팀을 지휘했다. 검찰 특유의 조직문화에 비춰 총장이 혹여나 특검의 소환장을 받는 장면은 수용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다. 검사장 출신 한 변호사는 “진행 중인 수사를 위해서라도 김 총장이 자리를 지키는 게 맞다”면서도 “평소 성품이나 일처리 스타일을 봤을 때 (거취 문제에 대한) 타이밍 고민을 많이 할 것 같다”고 전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