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경 청와대 민정수석과 김현웅 법무부 장관이 함께 사표를 내면서 사정 지휘라인이 마비 상태에 빠졌다. 수사 총괄 책임자인 김수남 검찰총장의 거취 문제도 관심 사안으로 떠올랐다. 김 총장이 특별검사팀 출범을 전후해 진퇴 문제에 대한 결단을 내릴 거란 관측도 나온다.
김 총장은 “검찰 외부 상황과 상관없이 최순실 국정농단 수사는 흔들림 없이 가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23일 전해졌다. 한 검찰 간부는 “대통령까지 연루된 초대형 수사가 한창인 때 수장의 거취 문제를 거론하는 건 부적절하다. (김 총장의) 사의설은 음해”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 총장 주변 상황이나 청와대 기류 등 변수가 많은 게 사실이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최순실씨 등의 공소장에 박근혜 대통령을 공범으로 적시했다. 인사권자인 대통령에 대한 전면전 선포였다. 앞서 지난 16일 박 대통령이 검찰의 대면조사 요청을 거부했을 때도 김 총장은 “대통령 직접 조사가 불가피하다”고 압박했다.
검찰의 수사 결과에 대해 청와대는 “객관적 증거는 무시한 채 상상과 추측을 거듭해서 지은 사상누각일 뿐”이라고 공식 반박했다. 박 대통령 변호인은 “검찰 수사의 공정성을 믿을 수 없다”고 했다. 김대중정부의 마지막 검찰총장이었던 김각영 총장은 2004년 3월 노무현 대통령이 “검찰 수뇌부를 믿을 수 없다”고 하자 취임 4개월 만에 사표를 낸 적이 있다. 이번에는 대통령이 검찰 수사 내용 자체에 대해 “잘못됐다. 억울하다”며 노골적인 불신을 드러낸 상황이다. 사정 당국 고위 관계자는 “수사 정당성은 인정되지만 총장의 정치적 책임 문제는 남게 된다”며 “임명장을 준 대통령을 피의자로 만들었는데, 대통령이 인정할 수 없다고 나왔으니 총장의 선택지도 많지 않다”고 전했다. 김 총장이 이 사건 전면 수사를 지시할 때 이미 사표를 각오했다는 얘기도 있다.
김 총장은 자칫 다음달 특검이 가동되면 수사 대상에 오를 수도 있다. 특검에서는 2014년 서울중앙지검의 ‘정윤회 국정개입 문건’ 수사의 부실 여부도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김 총장은 당시 중앙지검장으로 수사팀을 지휘했다. 검찰 특유의 조직문화에 비춰 총장이 혹여나 특검의 소환장을 받는 장면은 수용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다. 검사장 출신 한 변호사는 “진행 중인 수사를 위해서라도 김 총장이 자리를 지키는 게 맞다”면서도 “평소 성품이나 일처리 스타일을 봤을 때 (거취 문제에 대한) 타이밍 고민을 많이 할 것 같다”고 전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김수남 검찰총장은… 사정라인 마비에 검찰 수장 거취에도 ‘시선’
입력 2016-11-24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