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야권 증인만 354명, 매머드급 국조 예고

입력 2016-11-24 04:09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를 벼르는 야권이 200명 이상의 매머드급 증인 리스트를 들고 나왔다. 미르·K스포츠재단 의혹뿐 아니라 세월호 참사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7시간 논란과 2014년 ‘정윤회 문건 파동’ 관련 증인도 대거 포함됐다. 야당은 박 대통령의 증인 채택도 공식 요구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23일까지 작성한 증인 리스트에는 각각 220명, 134명의 이름이 올라왔다. 중복된 인사, 새누리당과의 협상 과정에서 일부가 추려진다 해도 최소 200명 이상이 국정조사 청문회에 증인으로 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안민석 의원은 박 대통령의 증인 채택을 요구하며 ‘강제구인’까지 언급했다.

야권은 특히 이번 국정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세월호 7시간’을 집중 파헤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차움병원에서 박 대통령과 최순실씨 일가를 진료하고 대리 처방한 의혹을 받는 김상만 전 녹십자아이메드 원장과 최씨 일가의 성형 관련 진료를 맡았던 성형외과 비전공의 김모씨를 증인 리스트에 포함시켰다. 유명 헬스트레이너 출신인 청와대 윤전추 행정관, 최씨를 수행하며 청와대 출입을 도운 청와대 제2부속실 이영선 전 행정관, 최씨가 사용한 태블릿PC를 개통한 것으로 알려진 김한수 선임행정관 등도 리스트에 올랐다. 청와대 경호실과 관저에서 근무한 전·현 직원도 리스트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야권은 2014년 발생한 정윤회 문건 파동도 다시 파헤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청와대에 파견됐던 한모 전 경위를 비롯해 당시 민정수석실과 공직기강비서관실에서 근무했던 인사들을 증인으로 부를 예정이다. ‘박근혜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소속 한 야당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전·현직 수석비서관들은 모두 부를 것이고, 최씨나 정윤회씨와 관련된 직원도 모두 출석시킬 것”이라며 “증인 수가 더 늘 수도 있다”고 했다.

특위는 오후 전체회의를 열고 기관보고 및 청문회 일정을 의결했다. 여야는 다음달 6일과 7일, 14일과 15일 네 차례 청문회를 열기로 하고 추가 청문회 실시 여부는 여야 간사 간 합의로 결정키로 했다. 특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등 9대 그룹 총수와 전국경제인연합회 관계자를 1차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했다. 2차 청문회에는 최씨와 딸 정유라씨, 언니 최순득씨, 조카 장시호씨 등 14명이 출석 대상이다.













최승욱 문동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