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특허 재취득 열쇠는 ‘상생’

입력 2016-11-23 18:50 수정 2016-11-23 21:13

서울 시내면세점 추가 특허 발표가 보름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면세점들이 사회공헌과 상생 분야 투자를 강조하며 치열한 막판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허 평가 점수에 사회공헌 배점이 경영 능력만큼 중요한 비중이어서 심사 결과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백화점그룹의 현대백화점면세점(현대면세점)은 23일 보도자료를 내고 “5년간 500억원을 사회에 환원하겠다”며 “면세점 예정 부지인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인근 강남지역 관광 인프라 개발(콘텐츠 포함) 투자에 300억원, 지역문화 육성 및 소외계층 지원에 2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7월 특허 심사(300억원) 때보다 200억원 늘어난 규모다. 500억원은 현대면세점 특허 취득 후 5년간 누계 예상 영업이익의 20% 규모로 산정된 액수다. 만약 5년간 누계 영업이익의 20%가 500억원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500억원 규모는 유지하기로 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평가 항목은 특허보세구역 관리역량(250점), 운영인의 경영능력(300점), 관광 인프라 등 주변 환경요소(150점), 중소기업 제품 판매 실적 등 경제·사회 발전을 위한 공헌도(150점), 기업이익 사회환원 및 상생협력 노력 정도(150점) 등이다. 관세청은 지난달 심사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한다는 취지로 평가 배점을 상세 항목까지 공개했다. 예를 들어 중소기업 제품 판매 실적 항목은 관련 판매 실적과 매장 설치 비율 등(80점), 고용창출효과 등 경제·사회 발전 기여도(70점)를 합쳐 150점 배점으로 평가가 이뤄진다.

배점은 사회공헌·상생 분야 점수가 300점으로 관리역량(250)보다 크고, 경영능력(300점)과 같은 상황이다.

앞서 21일 SK네트웍스는 워커힐면세점이 특허를 재취득할 경우 매장 37%를 중소·중견기업 제품으로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HDC신라면세점은 면세점 사업지인 삼성동을 관광 중심지로 띄우는 ‘강남 시프트 전략’을 지역 활성화 방안으로 내걸었다. 예술의전당, 국립국악원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전통문화 기반 한류 확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7개 중소·중견 면세점을 대상으로 서비스 노하우를 전수하고 경영 컨설팅도 지원하며 상생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신세계면세점은 면세점 부지인 센트럴시티 일대 관광자원을 활용해 명동과 차별화되는 ‘한국 문화예술 관광 허브’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미 명동점 운영을 통해 남대문시장과 상생 협력을 한 경험이 있는 만큼 고속터미널 상권과 함께 관광객 유치에 나설 예정이다. 월드타워점 특허 재취득에 나선 롯데면세점은 면세점이 위치한 송파구와 협력해 관광 활성화 업무협약을 맺고 지역사회 공헌 활동을 함께 추진 중이다.

글=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삽화=공희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