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여권의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 조사에서 1위를 달렸던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가 23일 대통령 선거에 불출마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박근혜정부 출범에 기여한 사람으로서, 전직 여당 대표로서 국가적 혼란 사태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이후 여당에서, 그것도 비중 있는 정치인이 책임을 지겠다고 나선 것은 처음이다.
박 대통령이 국민들로부터 하야를 요구받고 있는 가운데서도 총대를 메겠다는 이가 전혀 없는 새누리당 친박 지도부와 친박 의원들의 행태와 비교하면 신선하기까지 하다. 아직 일말의 양심이 남아 있는 친박 인사들이 있다면 더 늦기 전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이 정권에서 누릴 것은 다 누려놓고 강 건너 불구경을 하는 것은 정치를 떠나 인간의 도리가 아니다.
아울러 김 전 대표의 대선 불출마 선언은 한 달째 지속되고 있는 국정 공백 상태를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돼야 한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새누리당에서 대통령에 대한 탄핵 발의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이 버티기로 일관하는 상황에서는 그나마 국회의 탄핵 추진이 국정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번 일을 동력 삼아 여야는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
때마침 국민의당이 ‘선(先) 총리 인선, 후(後) 탄핵 추진’ 방침을 사실상 철회했다. 이 문제는 더불어민주당, 정의당과의 야3당 탄핵 공조를 가로막는 요인이었다. 또 민주당은 다음주 초까지 탄핵소추안 초안을 작성키로 했으며 국민의당도 이날 탄핵추진단을 구성했다. 야권의 본격적 행보와 함께 새누리당 비박계 좌장격인 김 전 대표가 탄핵을 주도하겠다고 나선 만큼 소추안의 국회 의결정족수(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를 채울 가능성은 한층 높아졌다.
국회의 탄핵 발의는 대통령은 물론 나라 전체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자주 있어서도 안 될 일이다. 그러나 지금은 국민적 신뢰를 상실한 대통령으로 인해 대한민국이 백척간두의 위기에 처해 있다. 어떻게 하면 국정을 빠르게 수습해 위기를 극복할지에 모든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정치권이 당파와 개인의 이해관계를 떠나 국난 극복의 의지로 똘똘 뭉쳐야 하는 이유다.
[사설] 김무성의 불출마 선언 국정 수습 계기로 만들라
입력 2016-11-23 1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