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의결을 위한 ‘매직넘버’(200명)를 채우기 위해 표 계산에 돌입했다. 민주당은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와 접촉에 나섰고, 기명으로 탄핵 표결을 하는 내용의 국회법 개정안도 발의했다.
민주당은 22일 새누리당 비박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개별 접촉을 시작했다. 민주당 기동민 원내대변인은 “오늘부터 모든 의원의 전방위적 접촉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탄핵안 의결을 위해 최소 29명의 새누리당 이탈표가 필요하다. 민주당은 이춘석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탄핵추진 실무준비단’도 구성했다.
최근 여당 비박계 의원과 접촉한 한 민주당 중진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비박계 의원 중 탄핵 찬성표를 던질 만한 사람이 30명 정도 된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야당 원내지도부는 안심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민주당 박완주 원내수석부대표는 “현재 확실한 (비박) 표는 김무성 황영철 김용태 의원 3명뿐”이라고 했다. 국민의당 김관영 원내수석부대표는 “우리 당 의원 입장도 다 모른다. (투표소) 안에 들어가 쓰는데 어떻게 장담할 수 있겠느냐”고 했다.
표결의 불확실성 때문에 야권에서는 탄핵안 표결을 기명으로 하자는 의견까지 나왔다. 민주당 김한정 의원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주요 선진국은 국가 지도자에 대한 탄핵소추 표결을 기명으로 한다”고 주장했다. 성난 민심 앞에 표결 내용을 공개해 새누리당 의원들을 압박하고, 야당 내부 ‘무기명 반란표’도 제압하겠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이 같은 내용의 국회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탄핵안 발의에는 최소 한 달 이상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학계 및 법조인 등의 의견을 수렴해야 하고, 법리 분석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이라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일각에선 이르면 ‘11월 30일 탄핵소추안 발의, 12월 1일 국회 본회의 보고, 2일 표결’ 등 탄핵 절차를 전광석화처럼 빨리 처리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지만 이런 일정이 실현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의 후임 국무총리 인선을 둘러싼 기싸움도 탄핵안 발목을 잡고 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황교안 총리를 그대로 두고 탄핵하면 박근혜정부가 연속되는 것”이라며 ‘선(先) 총리, 후(後) 탄핵’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5차 촛불집회가 예정된) 26일 이전에 정치권이 총리 논쟁을 벌이면 오해가 생길 수 있다”고 맞섰다.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의 총리 추천에 대한 거부감이 개헌을 매개로 한 ‘제3지대’ 확장을 우려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의당 핵심 관계자는 “민주당이 총리 추천에 적극적이지 않은 것은 개헌 국면으로의 전환이 달갑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정세균 국회의장은 김영수 국회 대변인을 통해 “박 대통령이 직접 제안한 국회 추천 총리 약속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탄핵의결 정족수 200명 충원” 야권, 전방위 ‘표 확보’ 나섰다
입력 2016-11-23 00:03 수정 2016-11-23 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