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소속 남경필 경기지사와 김용태 의원이 박근혜 대통령과 주류 친박(친박근혜)계를 맹비난하며 탈당했다. 보수 정당의 잠룡과 쇄신파 중진이 당을 박차고 나가며 주류 측과의 ‘갈라서기’ 물꼬가 트였다. 비주류 동조 규모에 따라 교섭단체(20명 이상) 구성 수준의 ‘분당’도 현실화된다.
일단 비주류 구심점 역할을 할 김무성 전 대표, 유승민 의원 등은 당에 남기로 했다. 당장 무더기 연쇄 탈당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다. 그러나 박 대통령 탄핵과 지도부 사퇴 문제 등으로 내홍이 심화되고 있어 ‘불씨’는 남아 있다.
남 지사와 김 의원은 22일 국회에서 나란히 탈당 기자회견을 갖고 박 대통령을 겨냥했다. “헌법 가치를 파괴하고 실정법을 위반해 가며 사익을 탐하는 대통령”(남 지사) “새누리당은 민주주의 공적기구를 사유화하고 자유시장경제를 파괴한 대통령을 막기는커녕 방조하고 비호했다. 대통령 권한은 최순실과 그 패거리들의 사리사욕을 채우는 데 쓰였다”(김 의원) 등 공세도 직설적이었다.
남 지사는 특히 친박 좌장 격인 서청원 의원을 지목하며 “모욕을 주고, 다음 날은 회유했다. 밤의 세계에서 조직폭력배들이나 하는 모습이다. 정계은퇴를 선언하라”고 일갈했다. 직접 회유나 협박을 받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 협박이란 표현보다는 모욕이 가깝다”고 했다. 남 지사와 김 의원 발언은 새누리당이 박 대통령과 주류 친박계의 독단에 휘둘리고 있다는 비주류 의원들의 불만을 반영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비주류는 ‘당내 세력’이 약한 만큼 결국 김 전 대표나 유 의원이 힘을 보태주느냐가 관건인 셈이다. 유 의원은 “당에 남아 당 개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고, 김 전 대표는 “지금은 얘기하지 않겠다”고 했다.
여권에선 초읽기에 들어간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탈당 러시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탄핵안이 발의되면 찬반을 놓고 당내 분명한 전선(戰線)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남 지사 등은 이날부터 탄핵 추진을 위해 새누리당 의원들을 상대로 설득작업에 돌입했다.
개헌 등을 매개로 한 제3지대 결집 등 정계개편 시나리오도 다시 힘을 받고 있다. 남 지사는 “새누리당을 포함해 건전한 보수 중도 세력의 힘을 모으는 일에 앞장을 서겠다. 새롭게 집을 짓겠다”며 신당 창당 의사를 내비쳤다.
한편 이정현 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당 지도체제를 즉각 비상대책위원회로 전환하자는 일부 중진의원들 제안에 대해 “(최고위에) ‘제로 그라운드’에서 다시 논의해 보자고 제안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내년 1월 21일 전당대회 개최를 위해 다음 달 21일 사퇴하겠다는 기존 제안을 변경할 여지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런 상황에서 새누리당 주류와 비주류 좌장 격인 최경환 의원과 김 전 대표는 최근 2∼3차례 회동, 당 수습 방안을 놓고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조기 전당대회 실시, 당의 비대위 체제 전환, 주류 및 비주류 협의체 구성 등 여러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새누리당, 대통령 막기는커녕 방조하고 비호”…남경필·김용태 첫 탈당
입력 2016-11-22 18:18 수정 2016-11-23 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