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지사와 김용태 새누리당 의원의 22일 탈당은 작지만 의미 있는 행보다. 현재로선 찻잔 속 태풍이 될지, 여권발 정계재편으로 이어질지 알 수 없다. 그러나 한 가지만은 확실하다. 새누리당 해체 여부를 본격적인 논의 테이블에 올려놓았다는 점이다. 적지 않은 새누리당 의원들이 이제 탈당과 잔류 중에서 고민해야 할 처지가 됐다. 현재 새누리당은 보수 정당으로서의 존재가치를 상실했다. 박근혜 대통령과 함께 ‘보수=부패’라는 인식을 각인시킨 새누리당은 어떤 식으로든 변해야만 한다. 이정현 대표 스스로도 새누리당을 ‘상한 음식’이라고 비유할 정도이니 말이다.
이런 탓에 남 지사 등이 새누리당의 역사적 사명 폐기를 선언하고 신당 창당의 길을 모색키로 한 것은 의미 있어 보인다. 보수 정당이 사라지더라도 보수적 가치를 지향하는 국민은 그대로 남아 있다. 친박 세력과 공동운명체의 길을 계속 간다면 보수층 전체가 기댈 곳이 없다. 그러나 상황은 녹록지 않다. 역대 여당 분열의 성공 사례가 없다. 1997년 이인제 전 의원의 국민신당, 2002년 박근혜 대통령의 한국미래연합, 2002년 김윤환 전 의원의 민주국민당 모두 실패로 귀결됐다. 실제 남 지사 등과 동조 탈당 의사를 밝힌 의원은 한 자릿수에 그치고 있다. 현재로선 성공 가능성이 낮다는 의미다.
그러나 두 사람의 탈당이 무의미하게 끝나선 안 된다. 건강한 보수 정치를 회복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이와관련 비박계의 집단 움직임이 주목되고 있다. 박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안이 발의될 즈음에 집단 탈당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또 이 대표가 사퇴하기로 한 다음 달 20일 약속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 또 하나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다 합리적 보수 세력과의 합종연횡을 통한 보수 신당 창당까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개헌을 매개로 비박계와 제3지대의 중추인 김종인 전 민주당 비대위 대표 및 정의화 전 국회의장 등과 손 잡고 새로운 보수 세력 형성을 고민해볼 때다.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와 국민의당까지 아우르는 제4지대 형성에 성공할 경우 정계재편까지 이어질 수 있다. 유력 대선후보 중 한 명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의 접촉도 관심이다.
상황이 여의치 않게 돌아갈 경우 당에 남아 있는 비박계가 새누리당 장악에 나서는 것도 차선책으로 고려해 봐야 한다. 피의자 신분이 된 박 대통령을 계속 감싸고 도는 친박계에 새누리당을 더 이상 맡겨선 안 된다. 친박계가 비상대책위 대표 자리를 넘길 수도 있다고 시사한 만큼 일단 이를 과감히 받을 수도 있겠다. 혁신의 전권을 쥐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당명부터 시작해 새누리당의 모든 것을 지워야한다.
[사설] 새누리 탈당, 건강한 보수정치로 회복 계기 만들어야
입력 2016-11-22 18:14 수정 2016-11-22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