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운대 엘시티의 거액 비자금 조성 및 정·관계 로비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현기환(57·사진) 전 청와대 정무수석의 자택을 압수수색하고 출국금지 조치했다.
조만간 현 전 수석 소환 등 정·관계 인사들에 대한 검찰의 수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부산지검 특수부(부장검사 임관혁)는 22일 현 전 수석의 서울 목동 자택으로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또 검찰은 이날 현 전 수석의 출국도 금지했다.
현 전 수석은 엘시티 시행사 이영복(66·구속) 회장과의 친분을 바탕으로 엘시티 사업 추진 과정에 특혜를 주도록 압력을 행사하고 내사 단계에서 검찰에 수사 중단 요청을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히 현 전 수석은 엘시티 시행사가 포스코건설을 시공사로 유치하고 16개 금융권 대주단과 1조7800억원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약정을 맺는 데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다. 앞서 검찰은 21일 황태현(68) 전 포스코건설 사장을 소환해 엘시티 시공사로 참여하게 된 경위를 집중 캐물었다.
검찰이 현 전 수석에 대한 강제수사에 나섬에 따라 그가 엘시티로부터 로비를 받고 각종 특혜를 주었다는 증거를 확보해 조만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또 검찰은 이 회장의 대포폰 분석을 통해 도피과정에 현 전 수석과의 통화내용을 어느 정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건설 전 사장을 조사하는 과정에서도 현 전 수석이 개입한 정황을 일부 확인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이 회장이 여전히 정·관계 금품로비 혐의를 완강하게 부인하고 있어 검찰이 구체적인 물증을 확보하지 않는 이상 혐의 입증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앞서 현 전 수석은 21일 해명서를 통해 ‘엘시티 사업과 관련해 어떤 청탁이나 압력도 행사한 적도 없고 도피에 협조한 사실이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며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18대 국회의원(부산 사하갑)을 지낸 현 전 수석은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박근혜 대통령 정무수석을 지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현기환 前 청와대 정무수석 ‘엘시티 비리’ 연루 의혹… 檢, 자택 압수수색·출금
입력 2016-11-22 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