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와 울산시 등 지방자치단체들이 본격적인 추위를 앞두고 복지사각지대의 취약계층 돌보기에 나섰다.
경북도는 동절기 동안 생계비 부담이 늘어나는 저소득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동절기 복지사각지대 집중 발굴 추진단’을 구성, 내년 2월말까지 운영한다고 22일 밝혔다.
특히 올해는 지진과 태풍 등 자연재해와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경기침체로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보고 지난해보다 열흘 앞당긴 21일부터 집중 발굴기간으로 설정, 도움이 필요한 취약계층을 발굴·지원키로 했다.
이 기간 중에는 기초생활수급 탈락자, 공원·터미널·비닐하우스 등에서 생활하는 비정형거주자, 일시적인 위기사유로 생계유지가 어려운 사람, 단전·단수로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에너지 빈곤층, 가족의 질병·노령 등으로 돌봄 부담이 높은 가구 등 주변의 도움이 절실하지만 지원받지 못하고 있는 소외계층을 집중 발굴할 계획이다.
발굴된 취약계층은 소득수준에 따라 기초생활보장급여, 긴급복지지원 등 각종 공적지원사업의 대상으로 선정해 지원하거나 공적지원이 불가능할 경우 희망복지지원단을 통해 민간서비스 연계 대상자로 선정해 지원한다.
또 시·군 읍·면·동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사회복지기관 의뢰자와 임시보호시설 이용자 등 기존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가능여부도 재점검한다.
울산시도 내년 2월말까지를 취약계층 대상자 집중 발굴 기간으로 설정해 동절기 취약계층 보호에 나선다고 이날 밝혔다.
시는 공적자료 및 민간네트워크를 활용해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대상자 발견 시 적기에 생계·의료·교육·주거·연료비 등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취약계층 보호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울산 지역도 경북도와 마찬가지로 올해 지진과 태풍 등 자연재해와 조선업 구조조정 등으로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발굴대상은 기초생활수급 탈락·중지자, 긴급복지지원법에 따른 위기사유로 생계가 어려운 가구, 가구원의 질병·노령·장애 등으로 돌봄 등의 과중한 부담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구 등이다.
시는 또 기초생활보장, 에너지바우처 등 지원기준을 초과하지만 위기상황으로 생계가 곤란한 가구에 대해서는 민간자원을 통해 다각적으로 보호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울산시는 기존 기초단체 희망복지지원단과 함께 올해 18개 읍·면·동에 시범적으로 설치한 맞춤형 복지팀을 통해 찾아가는 복지상담 및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대구 울산=김재산 조원일 기자 jskimkb@kmib.co.kr
동절기 ‘복지 사각’ 없도록…
입력 2016-11-22 1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