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하만은 함께 완벽한 스마트카 솔루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21일 방한한 디네쉬 팔리월 하만 최고경영자(CEO)는 삼성전자의 하만 인수(M&A)를 ‘결혼’이라고 표현하며 “굉장한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그는 양사의 만남이 서로 필요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팔리월은 “하만은 자동차 전자장비 사업에서 다양한 경험이 있고 자동차 사업 생태계를 잘 이해하고 있다”면서 “삼성전자가 보유한 다양한 IT 기술을 더하면 자율주행차, 스마트카에 대해 완벽한 솔루션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는 두 회사의 시너지가 현재보다는 미래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손영권 삼성전자 전략혁신센터 사장은 “전장이나 새로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선 상당한 경험이 필요하다”면서 “미래를 준비하는 부분에서 많은 시너지가 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디스플레이 기술과 하만의 오디오 기술이 더해지면 가정용 가전기기뿐만 아니라 극장 경기장 등 대규모 시설에 영상 음향 솔루션을 공급하는 데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하만은 양키 스타디움, 베이징올림픽 주경기장, 케네디센터 등에 음향 시설을 공급하고 있다. 스마트폰 등 개인용 디바이스, 자동차, 공공시설, 가정용 사물인터넷(IoT) 등에서 삼성전자의 디스플레이, IT 기술과 하만의 전장 및 오디오 기술이 결합해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하만이 보유한 다양한 기업간거래(B2B) 공급망이 삼성전자에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인수 발표 이후 삼성전자는 하만의 고객사를 방문해 향후 계획을 설명하고 파트너십 관계를 지속할 것을 제안했다. 손 사장은 “자동차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여러 가지 안을 두고 고민했는데, 폭넓은 고객을 보유한 하만과 함께하는 게 훨씬 빨리 갈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하만 인수로 전장 사업을 강화하더라도 완성차 시장 진출은 결코 없다고 선을 그었다. 팔리월은 “지난 일주일간 현대차를 비롯해 다양한 고객을 만났는데 대부분 이번 인수에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면서 “이번 인수의 목표는 스마트자동차 시대에 최고의 솔루션 공급업체가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만은 오디오 시장에서도 절대 강자다. 비디오에 비해 오디오가 약했던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TV 등에서 하만과의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 박종환 삼성전자 전장사업팀 부사장은 “인수 절차가 완료된 이후 본격적인 협력을 시작할 수 있다”며 “2018년쯤 출시될 스마트폰에는 하만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삼성-하만, 스마트카 최고 솔루션 공급 업체가 목표”
입력 2016-11-21 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