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불똥에 CJ K컬처밸리 ‘초긴장’

입력 2016-11-22 00:05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관련 의혹에 휩싸인 CJ그룹의 ‘K컬처밸리’ 사업이 삐걱거리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검찰 수사에 이어 향후 특검까지 예고되자 외부 투자자들이 리스크로 인식하면서 계약서에 도장 찍기를 머뭇거리고 있기 때문이다. 사태에 직접 연루된 다른 기업들도 향후 검찰 수사에 따라 사법 처리 대상에 오를 수도 있어 긴장감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CJ는 경기도 고양시에 약 30만㎡ 규모로 조성되는 한류테마파크 K컬처밸리의 외부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총 1조4000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에서 8000억원 가량을 외부에서 유치할 계획이었지만 투자자들이 마지막 결정을 미루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해당부지는 터파기 공사 등 기본 작업들이 진행된 상태다. 하지만 투자금을 제대로 유치하지 못할 경우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할 공사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그룹 내부에서 제기된다. CJ 관계자는 “검찰과 특검의 수사 결과가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이라 투자자들이 계약을 꺼리고 있는 것 같다”며 “공연장 등 주요 시설을 내년 말까지 완공하고 나머지 시설은 2018년 말까지 완공한다는 계획이었는데 차질이 생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CJ는 이번 사태와 관련한 의혹들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최순실씨 측근 차은택씨가 K컬처밸리 사업이 포함된 정부의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을 주물러 왔다는 정황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CJ도 K컬처밸리 사업에 투자를 약속하고 이재현 회장 사면을 로비한 것 아니냐는 게 의혹의 핵심이다. 차씨에 대한 검찰 수사에서 이런 의혹들이 사실로 확인되면 CJ는 국정농단 피해자일 뿐 아니라 조력자라는 신분이 추가될 가능성도 여전히 배제할 수 없다. CJ 측은 “K컬처밸리는 차씨가 등장하기 전부터 추진해 왔던 사업”이라고 의혹을 부인했다. 이미 K컬처밸리 사업을 비롯해 CJ가 진행하는 한류문화 사업이 갖가지 구설에 오르면서 이미지에 타격을 입었다는 하소연도 그룹 내에서 나온다.

CJ뿐만 아니라 검찰의 중간 수사결과 발표에서 일단 ‘피해자’로 분류됐던 다른 기업들도 불안하긴 마찬가지다. 박근혜 대통령과 총수 독대 전후로 최씨 등에 직접 51억원을 건넨 삼성그룹과 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추가로 출연했다 돌려받은 롯데그룹은 향후 수사 과정에 따라 뇌물공여자로 처지가 변할 수 있는 상황이다.

최씨 지인 회사의 물건을 납품받아준 현대차그룹과 기금 추가 출연 요청을 받았던 SK그룹과 부영그룹 모두 검찰 수사와 특검이 끝날 때까지 마음을 놓기 어려운 처지다. 박 대통령과 독대한 8대 기업 총수들은 이날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에서 모두 증인으로 채택됐다. 재계 관계자는 “불똥이 도대체 어디로 튈지 몰라 불안한 마음으로 사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