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60)씨 국정농단 연루자들인 김종(55)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과 최씨의 조카 장시호(37)씨가 21일 나란히 구속됐다. 서울중앙지법 한장석 영장전담 판사는 “범죄사실이 소명되고 구속의 사유와 필요성이 인정된다”며 검찰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김 전 차관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장씨가 실소유주인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이하 센터)에 삼성 측이 약 16억원을 후원하도록 강요한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를 받고 있다. 센터는 지난해 문체부에서도 예산 6억7000만원을 지원받아 김 전 차관의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검찰은 김 전 차관이 최씨에게 문화·체육계 국정 현안을 전달한 사실도 포착해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를 범죄사실에 포함시켰다.
장씨는 김 전 차관과 공모해 삼성에 센터 후원을 강요한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를 받는다. 삼성은 센터에 16억원을 지원했으나 실제 입금액은 약 5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가운데 상당 액수를 장씨가 빼돌린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그는 유령회사 누림기획 등을 통해 평창 동계올림픽 관련 각종 이권을 노렸다는 의혹도 사고 있다.
검찰은 이날 박근혜 대통령의 뜻을 앞세워 CJ그룹 인사에 불법 개입한 혐의(강요미수) 등으로 조원동(60) 전 청와대 경제수석에게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조 전 수석은 지난 17일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불려나와 조사를 받았다.
검찰에 따르면 조 전 수석은 2013년 말 손경식 당시 CJ그룹 회장에게 전화를 걸어 “VIP(대통령)의 뜻”이라며 이미경 CJ그룹 부회장의 퇴진을 요구했다. 당시 조 전 수석이 “너무 늦으면 난리난다” “수사까지 안 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한 통화 내용이 공개되면서 논란이 커졌다.
이 부회장은 2014년 갑자기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 미국으로 떠났다. 당시에는 건강상 이유에 따른 퇴진으로 알려졌지만 이후 조 전 수석과의 통화 내용이 공개되는 등 청와대 압력에 밀려났다는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조 전 수석은 검찰에서 “박 대통령의 지시로 이 부회장에게 퇴진하라고 얘기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외에도 조 전 수석은 2013년 말 포스코 측에 “차기 회장은 권오준으로 정해졌다”고 통보하는 등 포스코 회장 선임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또 컨설팅 업체에 최순실(60·구속기소)씨 단골 병원의 해외 진출을 돕도록 지시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김종 前 문체부 차관·장시호 나란히 구속
입력 2016-11-21 18:21 수정 2016-11-22 0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