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가정 양립 안되는 이유 “직장 내 분위기 탓” 68.8%

입력 2016-11-21 18:13 수정 2016-11-22 00:26
국민들은 ‘직장 내 분위기’ 탓에 정부의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가족부는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일·가정 양립 정책 국민 체감도 조사에서 이런 응답이 68.8% 나왔다고 21일 밝혔다.

‘경제적 부담’(26.6%) ‘지속적인 자기경력 개발’(4.2%)이 뒤를 이었다. 여가부에서 시행하는 일·가정 양립제도는 임신 12주 이내 또는 임신 36주 이후 여성 근로자가 일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거나 만 8세 이하 자녀가 있는 근로자는 1년 이내 휴직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국민 41.5%는 이 제도의 확산을 위해 ‘사업주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부지원 강화’(38.6%)와 ‘모니터링 및 점검 강화’(13.9%) ‘정책홍보 강화’(5.2%) 등이 뒤를 이었다.

국민들이 일·가정 양립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제도는 ‘출산휴가와 육아 휴직 정착’(32.5%)이었다. ‘가족 친화경영’(31.3%)과 ‘돌봄서비스 확충’(18.4%) ‘남성들의 육아 참여 활성화’(17.2%) 순으로 조사됐다.

다만 정책 인지도는 비정규직에서 낮았다. 비정규직은 정규직보다 4.3% 낮은 74.6%만이 정책에 대해 잘 안다고 답했다.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 87.7%가 정책을 안다고 했지만, 200만원 이하 가구는 같은 응답이 70.7%에 그쳤다.

일·가정 양립 정책이 정착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보완정책은 ‘어린이집 확충’으로 93.2%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초등돌봄교실’(90.0%), ‘맞춤형 보육’(89.7%), ‘아이돌봄 서비스’(89.1%), ‘시간제 보육’(86%) 순으로 상위권에 올랐다.

국민 66.6%가 언론을 통해 출산휴가제도 등을 알게 됐다고 답했다. 정부나 지자체 홍보자료로 알았다는 답변은 17.3%에 불과했다. 여가부는 “중소기업 맞춤형 일·가정 양립제도 매뉴얼을 제작해 제도를 몰라서 이용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