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으로 참모진을 개편한 이후부터 공식 보고 라인을 통해 집무를 보고 있다고 한다. 그중에서도 한광옥 비서실장과 최재경 민정수석, 배성례 홍보수석, 허원제 정무수석은 ‘신(新) 4인방’으로 불릴 만큼 대통령의 신임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지난달 29일 박 대통령이 청와대 수석비서관 전원에게 일괄 사표 제출을 지시한 뒤 새로 인선한 멤버들이다. 21일 청와대 관계자들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이달 들어 비서진이 근무하는 위민관 집무실을 찾는 일이 많아졌다. 정호성·이재만·안봉근 전 비서관 등 이른바 ‘문고리 3인방’과 우병우 전 민정수석 등 최측근들을 내보낸 빈자리를 한 비서실장과 최 민정수석이 채우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법적 대응은 최 민정수석 지휘 하에 유영하 변호사가 전면에 나서고 있다. 청와대 내부에선 유 변호인이 법리에만 초점을 맞춰 여론과 동떨어진 강경 메시지를 쏟아내고 있는 것이 우병우 전 수석의 영향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유 변호사는 재단 설립 및 모금은 정상적인 국정 수행의 일환이었고, 그 과정에서 최순실씨 등 특정 개인이 이권을 얻으려고 했다면 대통령과는 무관한 개인 비리이며, 대통령이 문서 유출을 지시하거나 관여한 바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논리 전개가 우 전 수석이 평소 의혹 제기에 대응하던 프레임과 유사하다는 것이다.
김기춘 전 비서실장과 친박(친박근혜) 실세로 불렸던 최경환 의원 등이 여전히 막후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얘기도 끊이지 않는다. 하지만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비선 논란을 겪은 뒤 정식 참모들의 중요성을 뒤늦게라도 깨닫게 된 것 같다”고 전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역주행 시나리오’ 도대체 누가 짜나
입력 2016-11-22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