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부산 엘시티 비리 수사가 특혜 대출 의혹을 겨냥하면서 금융권도 긴장한 기색이 역력하다. 엘시티 실소유주 이영복 회장이 최순실씨 친목계원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금융권 고위 인사에 대한 로비 의혹도 불거지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엘시티가 부산은행 등 15개 금융회사(펀드 포함)로부터 받은 대출잔액은 약 8500억원으로 파악된다. 엘시티는 앞서 지난해 4월 포스코건설과 공사도급 약정을 맺었다. 이후 5개월 만에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약정에 성공했다. 자금난에 시달리던 엘시티가 한도 1조7800억원의 대규모 PF를 단기간에 이끌어내 이례적인 일로 평가됐다.
특히 PF 영업에 보수적이었던 부산은행이 엘시티 사업에 적극 참여한 배경을 두고도 논란이 일고 있다. BNK금융그룹 계열사인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각각 8500억원, 2500억원 한도의 대출 약정을 맺었다. 국내 제1금융권 중엔 두 은행만 뛰어들었다. 부산은행의 약정액은 대출 한도를 자기자본의 15%(약 7200억원) 이상 넘기지 않는다는 내부 규정상 한도도 넘겼다. 이를 위해 은행 내부위원회의 특별 승인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은행은 2008년 엘시티 사업 출범 때부터 대주주로 참여했다.
의혹은 또 있다. 엘시티는 지난해 1월 부산은행으로부터 브릿지론(임시 자금 지원) 명목으로 3800억원을 빌렸다. 이 돈으로 2008년 군인공제회로부터 빌렸던 돈을 갚았다. 당시 이 회장의 개인 채무는 1800억원이었고, 별다른 담보도 없었는데 거액 대출을 받은 것이다. 부산은행은 PF 약정에 따라 브릿지론은 상환받고, 2800억여원을 추가로 대출해준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군인공제회는 엘시티에 2008년부터 계산한 이자 2379억원은 면제해줬다. 원금에 100억원을 더한 3550억원만 돌려받았다.
금융권에서는 잇따른 비리 의혹에도 엘시티 PF 자체가 부실화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지난 9월 기준 엘시티 아파트와 레지던스 분양률은 각각 87%, 48%로 양호한 수준이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
[엘시티 미스터리 2題] 부산銀 등 이영복에 1조7800억 특혜대출 의혹
입력 2016-11-21 00:02 수정 2016-11-21 0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