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피의자 확인’ 탄력 야권 ‘탄핵정국’ 불댕기기

입력 2016-11-20 18:13 수정 2016-11-21 00:27
야권 유력 대선 주자들이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상시국 정치회의'에 참석해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부겸 민주당 의원, 문재인 민주당 전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심상정 정의당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전 공동대표,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천정배 국민의당 전 공동대표.구성찬 기자

야권 대선 주자들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 추진 및 국회 주도 거국중립내각 구성 등 수습책에 합의했다. 하지만 각 당 입장이 미묘하게 달라 구체적인 수습책 마련에는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 등 8명은 20일 국회에서 ‘비상시국 정치회의’를 갖고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절차를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회의 모두발언부터 “박 대통령을 구속할 충분한 사유가 확인됐다”(문 전 대표) “자리를 보전하는 하루하루가 국격 훼손이다”(정의당 심상정 대표) 등 박 대통령을 겨냥해 맹공을 퍼부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박 대통령이 버티기로 일관하는 원천에는 언제나 야권은 분열했다는 믿음이 깔려 있다”며 야권 공조도 강조했다.

대선 주자들이 뜻을 모았지만 국회 차원의 수습책은 당이 주도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이다. 여기에 각 당의 입장 차는 여전하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정세균 국회의장과 여야 3당 원내대표 만찬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탄핵에 대한) 구체적인 어떤 절차를 밟을 입장이 아니었고, (총리 선출도) 여야 3당 모두 입장이 정리가 안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회동에서 “청와대에서 탄핵을 유도하는데 부결되면 어떻게 될까. 정치권이 박 대통령의 덫에 걸렸다”며 선(先) 총리 추천 필요성을 민주당에 설득했다.

야권은 그동안 박 대통령의 탈당(국민의당), 2선 후퇴 선언(민주당) 등 각자 다른 선결 조건을 내세웠다. 국민의당이 이날 탈당 요구를 철회하긴 했지만 탄핵 시점, 차기 총리 인선 및 내각 구성 시점 등에 대한 입장은 상이하다. 야권 내 주도권 다툼도 심화되고 있다. 야권은 일단 의원 총회 등을 통해 당내 의견을 수렴한 뒤 입장을 정리키로 했다.

사실상 탄핵을 자청한 박 대통령에 대한 비판도 터져 나왔다.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진짜 살다 살다 대통령이 저렇게 ‘배째라’로 나오는 건 처음 봤다”고 비판했다. 박지원 비대위원장도 “검찰 조사에 응하지 않고 중립적 특검에서 조사받겠다는 괴설을 퍼뜨리는 건 전혀 대통령답지 않다”고 말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