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비주류, 탄핵 즉각 착수 촉구… 친박은 “범죄 사실 단정 어렵다”

입력 2016-11-21 00:03

새누리당 기류가 ‘탄핵’으로 기울고 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20일 “야당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요구할 경우 논의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새누리당 비주류들은 박 대통령에 대한 즉각적인 탄핵 절차 착수와 출당 징계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청와대의 ‘검찰 수사 거부·탄핵 요구’ 입장을 전해 듣고 격앙된 감정을 감추지 못했다. 다만 친박(친박근혜)계는 여전히 “검찰 발표만으로 범죄 사실을 단정 짓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 분당이 초읽기에 들어간 분위기다.

정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탄핵 절차는 헌법에 규정된 것”이라며 “탄핵이 발의되면 헌법 정신에 따라, 그것은 권한이 아니라 의무이기 때문에 피할 수 없는 문제”라고 말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의원, 남경필 경기지사 등 비주류 80여명은 국회에서 비상시국회의를 개최했다. 대변인 격인 황영철 의원은 브리핑을 통해 “회의에 참석한 국회의원 35명 중 3명을 제외한 32명이 탄핵 절차 착수에 동의했다”고 말했다. 조경태 염동열 송석준 의원이 대통령 탄핵에 대해 반대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야3당 의원과 야권 성향 무소속 의원을 합친 171명 모두가 탄핵 찬성표를 던진다고 가정할 때 탄핵 소추 가결을 위해선 최소 새누리당 29명의 찬성이 필요하다.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 32명이 탄핵 절차에 동의함에 따라 탄핵 소추 가결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김무성 전 대표는 “생각했던 것보다 공소장 내용이 더 심각한 것 같다”고 말했다. 유승민 의원은 “보통 시민은 당연히 구속 기소될 사안이고, 그보다 훨씬 중대한 법률과 헌법을 위반한 사항이기에 국회가 탄핵 절차에 바로 착수하는 게 맞다”며 “야당도 탄핵 절차에 착수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비주류 일부는 탈당을 결행키로 하면서 정계개편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남경필 지사와 3선의 김용태 의원은 금명간 탈당을 선언할 예정이다. 하지만 “친박(친박근혜)계를 쫓아내야지, 왜 탈당하느냐”는 주장이 만만치 않아 비주류의 ‘탈당 러시’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