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기조 속에 급증하고 있는 가계부채가 내년 가계소비를 제약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일 ‘가계부채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내년 가계부채가 소비에 미치는 총효과(이하 총효과)가 마이너스(-)로 떨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총효과가 플러스라면 대출받은 가계는 그만큼 늘어난 자산을 소비에 쓴다는 의미다. 반면 총효과가 마이너스라면 빚을 낸 가계가 상환부담에 지갑을 닫게 된다는 뜻이다.
현경연은 2011년 4% 포인트대까지 올랐다가 하락하기 시작한 총효과가 올해 하반기 -0.07% 포인트로 전환될 것으로 내다봤다. 갚아야 할 빚 부담에 소비를 줄이게 될 것이란 설명이다. 내년에는 이 낙폭이 더욱 커져 상반기에 -0.78% 포인트, 하반기에 -0.49% 포인트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다.
현경연은 점점 커지고 있는 가계 원리금 상환 부담에서 원인을 찾았다. 가처분소득 중 원리금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나는 DSR 지표는 2012년 이후 전 소득분위에서 높아졌다. 2012년 17.1%였던 DSR은 지난해 24.3%로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의 분할상환 정착을 유도하는 정부의 정책도 요인이 됐다. 현경연은 “이자만 부담하는 가구보다 이자와 원금을 동시에 부담하는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이 더 낮다”며 “분할상환 비중 확대에 따라 소비침체는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현경연은 가계부채의 급격한 증가를 막기 위해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방지하고 투기 수요를 억제하는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소비를 진작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채무부담이 큰 저소득층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가계 부채 상환 부담 급증… 내년 소비 여력 떨어진다
입력 2016-11-20 18:44 수정 2016-11-20 2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