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세월호 7시간’ 또 해명 논란… 관저가 집무실? 2시50분에야 상황 파악?

입력 2016-11-21 00:02

박근혜 대통령이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당일 오후 2시50분이 돼서야 정확한 인명 구조 및 피해 상황을 파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박 대통령은 당시 청와대 본관 집무실이 아닌 관저 집무실에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청와대는 20일 홈페이지를 통해 세월호 참사 당일 제기된 박 대통령의 7시간 의혹과 관련, 시간대별로 보고 및 지시 내용을 공개했다.

청와대 홈페이지 ‘오보 괴담 바로잡기’ 코너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사고 당일 오후 2시50분 김장수 당시 국가안보실장으로부터 “190명 추가 구조는 서해해경청이 해경 본청에 잘못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는 정정보고를 받았다. 오전 10시 첫 보고를 받은 이후 4시간50분간 구체적인 피해 상황을 모르고 있었다는 의미다.

박 대통령은 오전 10시 국가안보실로부터 첫 종합 서면보고를 받은 뒤 오후 5시15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대책본부(중대본)를 방문할 때까지 모두 7차례 지시를 내렸다. 오전 10시 15분과 22분 두 차례 김 안보실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을 주문했다. 이어 10시30분엔 김석균 해양경찰청장에게 전화해 “특공대를 투입해서라도 인원 구조에 최선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박 대통령이 정확한 구조 상황을 보고받기 직전까지 국가안보실과 정무수석실은 ‘476명이 탑승했고 370명을 구조했다’고 틀린 내용을 계속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 대통령은 정정보고를 받은 후에야 김 안보실장을 질책하고 오후 3시 중대본 방문 지시를 내렸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박 대통령이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보고받은 뒤 10분 만에 중대본 방문을 지시한 만큼 야권과 언론 등이 제기한 7시간 의혹 제기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대통령이 대형 참사가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4시간50분 동안 상황 파악을 잘못하고 있었던 구조적 이유와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한 해명이 나오지 않고 있다. 청와대는 “이날의 진짜 비극은 오보에 따른 혼돈”이라며 허술했던 정부 보고체계를 언론 탓으로 돌리기도 했다.

세월호가 침몰하는 심각한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청와대 본관 집무실이 아닌 관저 집무실에 계속 머물렀다는 점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야당은 박 대통령의 관저 집무에 대해 “출근하지 않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청와대는 “대통령은 경내 어디서든 보고를 받고 지시할 수 있다. 대통령의 모든 시간이 근무시간”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