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대선 주자들이 20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 추진을 논의하고 국회 주도의 국무총리 선출, 과도내각 구성 등 수습책을 마련해줄 것을 국회와 야3당에 공식 촉구했다. 또 박 대통령이 국정 운영에서 완전히 손을 떼고 퇴진하는 것만이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는 길이라는 점도 재확인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 등 야권 대선 주자 8명은 국회에서 ‘비상시국 정치회의’를 열고 8개항의 합의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우선 “(검찰 수사로) 박 대통령의 범죄 사실이 명백하고 중대해 탄핵 사유가 된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국민적 퇴진운동과 병행해 탄핵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회와 야3당에는 “대통령 퇴진·탄핵에 따른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회 주도의 총리 선출 및 과도내각 구성 등 세부 수습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들은 또 검찰에 박 대통령을 피의자 신분으로 수사하고 범죄 사실을 공개할 것, 박 대통령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 및 역사 교과서 국정화 등 국정 운영에서 손을 뗄 것도 요구했다. 새누리당에 대해서는 “국정농단 헌정유린에 가담·방조했다”며 참회와 새누리당 핵심 관련자에 대한 책임 추궁을 요구했다. 회의에는 문·안 전 대표와 박원순 서울시장, 이재명 성남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민주당 김부겸 의원 등 야권 대선 주자 외에 국민의당 천정배 전 공동대표, 정의당 심상정 대표도 참석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를 접촉해보니 탄핵소추 의결정족수(200명)를 채우는 게 가능하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21일 의원총회를 열어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야권이 탄핵을 요구하면 (탄핵 절차가) 헌법에 규정돼 있는 만큼 책임 있는 논의에 응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들도 비상시국회의를 열어 참석 의원 35명 중 32명의 찬성으로 대통령 탄핵을 위한 절차에 착수할 것을 국회에 요구했고, 21일 박 대통령을 당 윤리위원회에 제소키로 했다.
정세균 국회의장과 여야 3당 원내대표는 이날 만찬회동에서 국정 위기 극복을 위해 국회가 책임감을 가지고 노력키로 합의했다. 내년도 예산안도 법정 기한 내 합의 처리키로 했다. 다만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절차, 국회 추천 총리 및 과도내각 구성에 대해선 여러 방안을 논의했지만 의견일치엔 이르지 못했다.
강준구 정건희 이종선 기자 eyes@kmib.co.kr, 사진=윤성호 기자
野대선주자들 “탄핵·과도내각 추진”
입력 2016-11-20 18:04 수정 2016-11-20 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