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최순실 게이트’의 유탄을 맞고 흔들리고 있다.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조직위)가 가장 걱정하는 부분은 예산 확보다. 20일 조직위와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이들 기관은 지난 8월부터 제4차 재정계획을 논의 중인데 계획상 지출은 2조8000억원, 수입은 2조4000억원이다. 4000억원이 부족하다. 조직위는 부족한 부분을 스폰서 확보로 채울 계획이었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을 등에 업은 최순실 일가가 미르 및 K스포츠재단을 통해 대기업들에 774억원을 강제 모금하면서 조직위는 스폰서 확보에 차질을 빚게 됐다.
지난 10일 열린 평창동계올림픽 및 국제경기대회지원 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여형구 조직위 사무총장은 “기업 후원 일정에 어려움이 있다”고 털어놓았다.
조직위는 스폰서 계약 목표액을 9400억원으로 잡았다. 올 연말까지 90%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8일 GS그룹이 스폰서로 참여해 일단 급한 불은 껐지만 악재는 여전하다. 문체부는 예산 재검토를 통해 ‘최순실 예산’이라고 보이는 892억원을 자진 삭감해 평창동계올림픽 지원에 쓰일 예산까지 줄어들 판국이다.
최순실 일가의 이권 사업에 비협조적이었던 조양호 전 조직위 위원장이 갑자기 사퇴한 것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최순실은 스포츠매니지먼트회사 ‘더블루케이’를 통해 평창동계올림픽 이권 사업에 뛰어들려고 했다. 조 전 위원장은 이에 대한 결재를 거부했고 결국 청와대로부터 사퇴 압박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최순실의 조카인 장시호는 동계종목 스타들을 간판으로 내세운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로 일확천금을 노렸다.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동계 스포츠 붐 조성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이 단체는 특별한 성과도 없이 문체부로부터 올해까지 6억7000만원이나 예산을 지원받았다.
체육인들은 “어렵게 유치하고 준비한 평창동계올림픽이 최순실 일가의 배를 불리기 위한 이벤트로 전락했다”고 개탄한 뒤 “국사를 차질 없이 치르려면 제대로 된 올림픽 예산을 세우고 비정상적인 부분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태현 기자
‘최순실’ 유탄에… 평창올림픽도 흔들
입력 2016-11-21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