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대선 주자-3당 대표 ‘朴 퇴진’ 투트랙 공조

입력 2016-11-17 18:08 수정 2016-11-17 21:40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심상정 정의당 상임대표(왼쪽부터)가 17일 오후 국회 사랑재에서 만나 손을 맞잡고 있다. 야3당 대표는 회동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위한 범국민 서명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김지훈 기자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등 야권의 대권주자들이 향후 정국 수습을 위한 공동 모임을 열기로 합의했다. 야3당 대표도 17일 회동해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위한 야권 공조를 재확인했다. 대권주자들과 야3당이 ‘투트랙’으로 결합하면서 박 대통령 퇴진 압박 수위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국민의당 김경록 대변인은 17일 국회 정론관에서 “안철수 전 대표가 오늘 오전 야권 대권주자들에게 정치지도자회의 개최를 제안했다”며 “모두 원론적으로 참석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 측은 “국민들이 기대하는 결과물을 함께 내놓기 위해서라도 실무논의를 통해 만나서 무엇을 논의할지 사전에 협의하자”고 밝혔다.

20일 오찬 형식으로 개최될 이 회의에는 안 전 대표와 문 전 대표, 박 시장 외에도 이재명 성남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민주당 김부겸 의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 퇴진을 전제로 한 정국 수습 방안이 주요 의제가 될 전망이다.

야3당 대표는 국회 사랑재에서 만나 박 대통령 퇴진을 목표로 하는 범국민 서명운동을 전개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회동은 지난 9일 이후 8일 만이다. 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지난 14일 박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추진해 야권 공조에 균열 우려가 높았다. 하지만 3당 대표들은 이번 회동에 “우려는 사라졌다”고 강조했다.

야3당은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와 특별검사 추천 과정도 공조하기로 했다. 퇴진 운동을 전개하며 시민사회 측과 협력·협의하는 것도 고려할 방침이다. 검찰을 상대로는 박 대통령을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해 수사하라고 촉구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비온 뒤에 땅이 굳는다. 야권이 새로운 각오로 박 대통령 퇴진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야권 공조가 원론적인 수준에 그쳤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책임총리 합의, 박 대통령 퇴진 이후 로드맵 등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합의가 없었다는 것이다. 범국민 서명운동도 각 당이 개별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정리됐다. 민주당 윤관석 수석대변인은 “오늘은 다시 만난 것에 의미가 있었다”며 “공동 목표를 확인하고 구체적 실천 방안으로는 서명운동을 추진하는 것으로 정리했다”고 설명했다.

박 위원장은 책임총리 합의를 위해 청와대와 영수회담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으나 추 대표와 정의당 심상정 상임대표가 난색을 표했다고 한다. 국민의당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심 대표는 검찰 수사 결과를 좀 더 지켜보자고 했고 추 대표도 ‘타이밍이 중요하다’며 반대했다”고 전했다. 박 위원장은 회동 뒤 기자들과 만나 “영수회담이나 총리 합의 쪽으로 넘어가는 것은 조금 빠르다. 내가 제안했는데 거둬들였다”고 말했다. 야3당은 공동의총과 특검 추천에 대해서는 추후 협의하기로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