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반전’ 시나리오… 내년초까지 버틴다

입력 2016-11-17 17:59 수정 2016-11-17 21:57
'21세기청소년공동체희망'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난 17일 오후 7시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박근혜 하야 고3 집회'를 열었다. 청소년 150여명이 집회에 참석해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하고 있다. 곽경근 선임기자

퇴진 압박을 받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의 버티기·반격 구상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내부에서는 “내년 초까지만 버티면 반전의 계기가 생길 수 있다”는 얘기까지 흘러나왔다.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가 내년 1월 조기 전당대회를 제안한 것도 장기전 플랜의 일환이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17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내년 1월 전당대회는 당 혁신의 의미도 있지만 불안해하는 초·재선 의원과 당원들에게 ‘박근혜정권은 절대 무너지지 않는다’는 강력한 신호를 보낸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 12일 촛불집회 이후 야당이 오히려 동력을 잃은 것 같다”며 “대통령이 검찰 조사를 잘 넘기고 흔들림 없이 직무에 임하는 모습을 보이면 정국 수습의 물꼬가 트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강성 친박계인 김진태 의원은 ‘최순실 특검법’ 처리를 위해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촛불은 촛불일 뿐 결국 바람이 불면 다 꺼지게 돼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와 친박계는 대략적으로 사정정국 조성→정치불신 심화→보수지지층 결집→새누리당 전당대회→여론 반등의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이후 두 차례 대국민 사과를 통해 몸을 낮췄던 박 대통령은 100만 촛불집회와 검찰 조사 요구 이후 공세로 전환했다. 청와대는 지난 15일 대통령 하야나 퇴진은 없다고 선을 그었고, 다음날 박 대통령은 부산 엘시티(LCT) 비리 의혹 수사와 연루자 엄단을 공개 지시했다.

여야를 넘나드는 사정 정국을 통해 국정농단에 쏠린 시선을 분산시키고 등 돌린 보수 지지층을 결집시켜 여론 반등을 노리겠다는 구상이다. 여기엔 수사 결과 정치인 연루설이 확인되면 박 대통령 퇴진 요구도 힘이 빠질 것이란 판단도 깔려 있다. 박 대통령 지지율이 2주 연속 5%까지 떨어졌는데도 여야 차기 대선 주자들 지지율은 오르지 않고 부동층만 늘어난 여론조사 결과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엘시티 비리의혹 수사 지시는 국면전환용’이라는 비판에 대해 “대통령이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처럼 의혹이 제기돼 이로 인한 혼란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야당은 영수회담에도 응하지 않고 수습책도 내놓지 않고 있다”며 “국정 공백이 우려된다면서 대통령이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꼼수라고 비판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공석이던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에 유동훈 국민소통실장을 내정했다. 전날 외교부 제2차관에 이어 이틀째 정상적인 인사를 실시했다. 오는 22일 국무회의 주재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다음 달 일본 도쿄에서 열릴 예정인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외교부 조준혁 대변인이 밝혔다. 검찰 수사 지시, 차관 인사, 국무회의 참석 등 내치에 이어 외치도 정상화하겠다는 신호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사진=곽경근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