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는 이정현 대표가 제안한 내년 1월 21일 조기 전당대회를 강행키로 했다. 당내 비주류가 불참하는 ‘반쪽 전당대회’도 불사하겠다는 방침이다.
친박계는 비주류의 핵심인 김무성 전 대표, 남경필 경기지사 등을 겨냥해 “해당행위를 중단하고 차라리 탈당하라”고 요구했다. 친박계가 예상보다 이른 시점에 반격을 개시하자 청와대와의 교감설이 흘러나왔다.
친박계가 반쪽 전당대회를 강행하거나 비주류 의원들에 대해 징계에 나설 경우 새누리당은 분당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친박의 대공세가 비주류 탈당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도 있다.
친박 핵심 관계자는 17일 “이정현 대표가 로드맵을 제시한 대로 이 대표는 다음달 21∼26일 사퇴하고 내년 1월 조기 전당대회를 예정대로 치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비주류의 전당대회 참여를 막지 않는다”며 “오라고 해도 그 사람들(비주류)이 오지 않는 것인데 그게 왜 반쪽 전당대회냐”고 반문했다. 친박계 조원진 최고위원은 “친박은 전당대회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며 친박 후보도 출마시키지 않는다”며 “친박은 모든 당직을 내놓고 새롭게 선출된 대표를 지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비주류 측은 조기 전당대회에 대해 “일고의 가치가 없다”는 입장에서 변함이 없어 전당대회 개최를 놓고 새누리당 분란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친박계는 여러 비주류 대권 후보들 중 김무성 전 대표와 남경필 지사만 꼭 집어 비판하고 있다. 비주류가 이끄는 비상시국위원회도 정조준했다. 조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비상시국위원회는 해당행위”라며 “즉각적인 중단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 중심에 김 전 대표가 있다는데, 순수성과 진정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장우 최고위원도 김 전 대표를 겨냥해 “박근혜 대선 후보의 총괄선대본부장을 지내고, 박근혜정부가 왕성하게 활동한 시기에 당대표로서 모든 영화를 누린 분”이라며 “그런 분이 지금 당이 위기에 빠졌는데 석고대죄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거꾸로 당에 돌을 던지고 당을 깨는 데 앞장서고 있다”고 비판했다. 남경필 지사에 대해서도 “부모로부터 부와 명예를 이어받아 새누리당에서 5선 의원을 하고, 공천받아 경기지사가 된 분”이라며 “몇 퍼센트 지지율도 나오지 않는데 대선 후보인 것처럼 착각하면서 당을 가르고 깨는 일을 서슴없이 하는 것은 명백한 해당행위”라고 주장했다.
야권에 대한 공격도 재개됐다. 이정현 대표는 야권이 박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것에 대해 “헌법상 대통령 지위와 권한을 갖고 있는 분을 여론, 선동을 통해 끌어내리겠다는 것은 인민재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비난했다. 또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추미애 대표의 실명을 거론하며 “대통령을 하겠다는 분과 공당의 대표가 초헌법, 초법률적으로 여론몰이를 통해 대통령을 끌어내리겠다는 것은 인민재판식”이라고 주장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단독] 친박도 반격 개시… 靑과 교감?
입력 2016-11-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