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의 마지막 판자촌 ‘구룡마을’ 개발계획이 우여곡절 끝에 확정됐다. 이에 따라 구룡마을은 전면 공영개발 방식으로 사업이 본격 추진돼 2020년까지 2600여가구의 대규모 아파트단지(조감도)로 탈바꿈하게 된다.
서울시는 지난 16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17일 밝혔다.
구룡마을은 1970∼80년대 각종 공공사업과 아시안게임·올림픽 등을 위한 건설사업 시행으로 밀려난 철거민들이 모여들면서 형성된 대규모 무허가 판자촌이다.
현재 1100여가구가 살고 있는데 기반시설 등이 갖춰져 있지 않아 화재 및 풍수해 등에 노출돼 있고 오·폐수, 쓰레기 등으로 생활환경도 극히 열악해 시와 강남구가 개발을 추진해 왔다.
개발계획에 따르면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26만6304㎡)에는 아파트와 도시기반시설 등이 들어선다. 아파트와 주상복합·근린생활시설 등 주거용지 12만1165㎡(45.5%), 근린공원·광장·교육시설·주차장·도로 등 도시기반시설용지 13만4461㎡(50.5%), 의료&연구용지 등 1만678㎡(4.0%)로 계획돼 있다.
아파트는 2692가구(분양 1585, 임대 1107)를 짓는데 전용면적 60㎡이하 1948가구, 60∼85㎡ 744가구가 들어선다. 임대아파트에는 구룡마을 주민들이 우선 입주하고 나머지 물량은 분양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구룡마을에는 아파트 외에 창업지원센터, 재활용센터, 마을공방, 공동작업장, 공동식당, 마을카페, 공동체 텃밭, 도서관, 주민체육시설 등 다양한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사업은 강남구가 주장한 대로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주도하는 100% 수용·사용 방식의 공영개발로 추진된다.
시는 2017년 실시계획 인가를 거쳐 2018년 착공, 2020년 말까지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구룡마을 개발은 2012년 8월 서울시가 개발계획을 발표하면서 본격화됐지만 개발방식을 놓고 시와 강남구, 일부 토지주 간 갈등이 발생하면서 사업이 취소되기도 하는 등 장기간 표류했다.
시 관계자는 “사업취소로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 어렵게 이뤄낸 결실인 만큼 사업시행 단계에서도 자치구, 거주민, 토지주 등과 적극 협력해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시와 대립각을 세웠던 강남구도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30여년간 방치된 무허가 판자촌을 정비하고 쾌적한 도시로 본격 개발할 수 있어 좀 늦은 감은 있지만 경위 불문하고 ‘감사하고 환영한다’”고 밝혔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구룡마을, 2020년 아파트촌으로 바뀐다
입력 2016-11-18 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