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만명 시대에 대비해 2025년까지 제주지역 생활권이 4개 권역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시가화 예정용지도 2배 가까이 확대된다. 시가화 예정용지는 지구단위계획 구역으로 지정돼 체계적인 도시계획이 시행되는 지역을 말한다.
제주도는 제주국제공항·제2공항·신항개발 수요 등을 감안한 ‘제주도 도시기본계획(안) 및 도시관리 계획(안)’을 확정, 도의회 정례회에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도시기본계획안은 2025년까지 상주인구 75만명, 체류인구 25만명 등을 기준으로 도시공간구조와 생활권 설정, 인구배분 및 토지이용, 기반시설 계획 등을 담았다. 시가화 예정용지는 기존 21.7㎢에서 42.1㎢로 확대된다.
도시 공간구조는 제주미래비전이 제시하고 있는 ‘청정과 공존’의 기본원칙을 바탕으로 지역을 4개 권역(북부·남부·동부·서부권역)으로 나눠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북부권역은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제주신항 개발·도심 재생과 연계한 기능 강화를, 남부권역은 혁신도시·강정민군복합형관광미항과 연계한 국제 크루즈 관광허브 기능 육성, 교육?연수 스포츠트레이닝 기능을 부각시켰다.
동부권역은 제2공항 건설·해양관광 기능·신재생에너지 생산 연구 거점기능을, 서부권역은 영어교육도시·신화역사공원과 연계한 국제교육 중심지·전원휴양 주거기능을 강화했다.
생활권은 2개의 대생활권(제주·서귀포)과 4개의 중생활권으로 구분된다. 4개의 중생활권은 제주동 중생활권, 제주북부 중생활권(애월읍·한림읍·조천읍·구좌읍·한경면), 서귀포동 중생활권, 서귀포 남부 중생활권(성산읍·남원읍·대정읍·표선면·안덕면)이다.
생활권별로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간 인구 배분을 70대 30으로 정했다. 상주인구와 체류인구를 합한 도내인구는 2020년 총 91만명(제주시 60만2000명, 서귀포시 30만8000명), 2025년 100만명(제주시 66만명, 서귀포시 34만명)으로 설정했다.
공원녹지의 경우 사업추진이 어려운 장기 미집행 공원은 폐지하되 대체공원 지정 등 공원 총량이 축소되지 않도록 조정, 75곳·9.9㎢에서 97곳·10.4㎢로 늘어나게 됐다.
또 사업 미추진 유원지는 폐지·축소하고 도시지역으로 편입되는 관광지는 유원지로 신설했다. 이에 따라 무수천유원지 일부와 산천단유원지 일부 등은 축소되고 애월읍 곽지리 관광휴양형 지구단위계획구역(0.3㎢)은 유원지로 신설됐다. 천지연과 우보악, 제2관광단지(서귀포시 동홍동), 색달 온천, 안덕, 표선, 태양(서귀포시 서홍동) 유원지는 폐지된다.
이밖에 주요 오름과 해안변 경관 보전을 위해 자연경관지구 9곳(8.1㎢)와 수변경관지구110곳(5.8㎢ )이 신설됐다.
도 관계자는 “광역급행 대중교통으로 4대 권역을 30∼40분 내 연결하고 고속형 대중교통 수단을 도입할 것”이라며 “이동성과 기능성 등을 고려해 각 권역의 균형발전 토대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제주도, 4개 권역 중심 개발·시가화 예정지 2배 확대
입력 2016-11-17 18:14